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뭔가 뚝딱거리며 실험실에 앉아 있을 것 같은 공학자가 책상에 앉아서 숫자들과 끝없이 씨름하고 있다. 새로운 개념의 신호검파이론으로 ... 모양이다. 콘택트의 주인공 엘리 애로위가
우주
의 신호를 들었던 것처럼 천문학자들이
우주
의 신호를 읽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꿈이 있기 때문이다 ... ...
고대문헌 판독에
우주
기술 쓰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 동안 학자들은 화산 폭발로 매몰된 곳에서 발견된 그을린 파피루스 고대문헌을 판독하는데 수주 또는 수개월이 걸렸다. 물론 그 문헌이 판별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그을리지 않았다면. 하지만 이제 더 이상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NASA의 광영상 기술을 사용할 경우 그을린 고대문헌을 깨 ... ...
빅뱅 이전을 다시 말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덧붙였다.빅스플랫은 기존 빅뱅
우주
론에서 중요한 요소인 인플레이션 없이
우주
거대규모에서 평평한 곡률과 물질 분포의 등방성을 설명했다. 지금 당장은 인플레이션과 빅스플랫 중 어느 이론이 옳은지 말할 수 없다. 하지만 두 이론에서 나오는 중력파가 다른 종류이기 때문에 앞으로 관측기술이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애너글리프를 이용한다는데….환상적인 화성 사진을 구하고자 할 때 보통 미항공
우주
국(NASA)을 방문한다. 특히 지난 1997년 화성으로 보내진 탐사선 패스파인더 홈페이지(mars.jpl.nasa.gov/MPF/index1. html)를 찾아가면 높은 해상도의 화성표면 사진을 얻을 수 있다.그런데 여기에는 뜻밖의 사진이 발견된다.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새 또는 곤충과 같은 크기의 항공기가 가능할까. 영화에나 등장할 것 같은 이런 초소형 항공기가 현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초소형 항공기가 현실로 다가오면 전쟁터 비밀정찰에서부터 위험한 활화산탐사까지 이용될 전망이다.누구나 한번쯤은 종이 비행기를 접으며, 이 작은 비행기가 하늘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극작가의 함량미달인지 모르겠지만 그게 현실일수도 있겠죠. 힘없는 나라나 동양권에서
우주
개발에 참가한다는 것이 멀게만 느껴져 서글프군요. 돈도 결국 힘으로 버는 것이니까요.조박사_ 기술적인 문제점이나 옥에 티가 많이 발견되긴 하지만 이런 영화가 앞으로도 많이 만들어지면 좋겠어요. ... ...
특명 '지구 밖 생명체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 있는 극한 조건을 알아보고, 실제로 태양계 내에서 극한의 생명체를 탐사하며, 망망한
우주
에서 생명있는 행성을 수색한다. 이 모든 연구는 생명의 기원을 이해하고 지구생명체의 미래를 설계하는 일로 귀결된다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우주
복도 없이 최악의 조건인
우주
에서 살아남은 것이다. 미생물이 인간보다 먼저
우주
정거장을 차지했고, 아마도 인간이 떠나간 후에도 최후까지 남아 그곳을 지킬 것이다.미생물이 다른 생명체와 비교해서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 비밀은 미생물의 다양한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연료가 떨어진 인공위성의 연료전지를 바꾸는 일을 할 수 있다. 무중력상황인
우주
공간에서 사람이 이런 일을 하기란 무척 위험하기 때문에 당연히 이 일은 로봇의 몫이다. 인공위성에서 다 써버린 연료전지를 빼고 새롭게 충전된 연료전지를 끼우는 일을 하는 로봇이 바로 원격로봇시스템이다 ... ...
새처럼 펄럭이는 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0년 후면 차고에 자동차 대신 개인용 비행기가 들어설지 모른다. 지난 3월 1일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랭글리 연구센터는 새의 골격과 날개짓을 모방한 비행기를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이 비행기의 핵심기술은 새나 곤충의 비행능력을 모방하는 생체모방기술이다. 우선 개인용 항공기는 속도조절이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