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6T - 메가톤급 산업혁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맺고 있다. 또한 6T는 연구 개발을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산업분야에
활용
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때문에 흔히 6T를 바탕으로 한 산업을 지식·정보기반산업이라고 부른다.6T가 실제 산업에서 활약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과 인력을 필요로 한다. 투자가 상당히 이뤄져야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폭등하고 있다. 정부는 비상대책으로 국내 보유 농산물을 모두 방출하고 휴농지의 재
활용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다행히 2002년 벼 유전체 정보가 밝혀진 이후 영양가가 많고 수확이 많은 슈퍼벼 개발이 완성단계에 있어서 올해부터 이 종자를 농촌에 보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비타민이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주항구의 역할뿐만 아니라 우주과학교육센터가 만들어져 우주과학의 교육시설로도
활용
될 것이다.우주발사체는 2010년까지는 무게 1천kg급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 성능의 KSLV-II, 그리고 2015년까지는 1천5백kg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 KSLV-III가 개발된다. ... ...
정전기 성의 세관문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찌릿하게 온몸으로 감전을 맛보게 하는 정전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
해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있다. 모험이와 슬기가 선보이는 정전기 여행을 따라가보자. 바깥에 나갔다가 방금 집으로 돌아온 모험이와 슬기는 외투를 벗는 순간 찌릿한 느낌에 화들짝 놀란다.슬기: 앗! 정전기 땜에 요즘 옷 벗는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만약 내가 본능의 진화에 대해 쓰게 된다면, 나는 귀하가 기록한 사실 가운데 몇가지를
활용
하고 싶습니다. … 앞으로 귀하의 ‘곤충기’를 받아볼 수 있으면 참으로 감사하겠습니다”라고 적고 있다.과학의 첫걸음은 자연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끈질긴 관찰과 기록 태도다. 이런 의미에서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무엇인가. 체육과학연구원의 신동성 박사는 “체력훈련을 하는 방법과 공간을 만들고
활용
하는 능력”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초중고 학교에서 체력훈련을 할 때 마라톤처럼 지구력만을 강조해왔는데 이것이 잘못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축구경기는 지속적으로 달리기만 계속하는 운동은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다양한 무인 탐사선의 활동으로 수집된 자료들은 이들을 화성으로 보내기 위한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물론 이들에게 실제 화성우주비행사로 뽑히는 행운이 있다면 말이다 ... ...
ET - 지구위기극복하는 만능해결사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전세계적으로 재
활용
을 높이고 유해물질 사용을 줄이는 청정기술이 필요하다. 완벽한 재
활용
을 위해서 제조과정을 제일 잘 알고 있는 생산자가 처음부터 환경을 고려해 제품을 설계하는 일까지 ET에서 연구되고 있다.21세기를 이끌어갈 미래 환경기술인 ET는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대기, 수질, 토양,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운세를 점치는 일에 한번쯤 관심을 갖는다. 그런데 이런 현상을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것일까. 새해가 되면 토정비결이 인기를 끈다. ... 미지수다. 토정비결을 일방적으로 믿기보다는 재미로 여기고, 몸가짐을 바르게 하는데
활용
하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란 얘기다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대량으로 발굴해 인류건강과 복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믿어진다.프로테오믹스의
활용
성은 실로 무궁무진하다. 왜냐하면 어느 생물체도 단백질이 없는 생물체가 없으며 세포내외, 체내외 모든 생물학적 기능이 단백질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종 생명현상 조절의 최전선에 있는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