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빗자루가 반중력 물질로 되어 있기만 하다면, 영화처럼 신나게 하늘을 날 수 있을까요? 그
건
아니에요. 님부스 2000이 반중력을 갖는 순간, 님부스 2000과 그 위에 올라탄 해리포터는 지구를 벗어나 먼 우주로 날아가 버릴 테니까요. 왜냐하면 님부스 2000의 반중력 물질이 중력의 영향은 받지 않고, ... ...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새해가 밝았네요. 다들 새로운 계획을 하나씩 세웠나요? 새해를 맞아 새 마음을 갖는
건
새롭게 태어나는 것처럼 가슴이 뛰는 일이죠. 여기에도 이제 막 새 삶을 시작한 아기별들이 있어요. 아기별들은 ‘성운’이라고 하는 먼지 구름에서 태어난답니다. 반짝반짝 아기별들의 보금자리로 여행을 떠나 ... ...
왜 4를 싫어하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다음도 5군단이야. 숫자 4를 기피하는데다 1948년 국군 14연대 일부가 일으킨 여수·순천사
건
때문에 4라는 숫자를 쓰지 않는다고 해.북한군도 4를 싫어하나?북한군은 4에 대한 거부감이 없다. 4사단도 존재한다. 대신 18사단이 없다. 좋지 않은 말처럼 들릴 뿐 아니라 6.25전쟁에서 이긴적이 없다는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배어 있는 것이다.지구에서 적정 속도는 시속 5~6km카바냐 교수가 걷기 연구를 시작한
건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기 훨씬 전이다.1961년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이 “우리는 10년 안에 달에 착륙하겠다”고 연설했을 때 카바냐 교수는 궁금증이 하나 생겼다. 사람이 달에서 걷는다면 지구에서와는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빈소에서 만난 이태형 천문우주기획 대표는 “말년에 전국 각지로 시민천문대를
건
립하기 위해 함께 다녔는데 산을 파는 공사를 반대하던 어르신들에게 ‘천문대는 말뚝을 박는 곳이 아니라 빛을 모으는 곳’이라며 설득하시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고 말했다.또 “조 박사는 2035년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 곤충은 가만히 앉아 있을 때 앞다리를 머리 위로 뻗는다. 또 굵은 잎맥처럼 보이는
건
대벌레의 몸통이다. 이렇게 동물이 몸을 보호하거나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주변 자연물이나 다른 동물의 모습을 닮는 전략을 ‘의태’라고 부른다. 돌처럼 생긴 메뚜기나 벌과 닮은 꽃등에도 의태로 실체를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3분의 1 이상이 창의연구단 소속입니다. 또 연구단에 선정됐다고 무조
건
9년간 지원받는
건
아닙니다. 3년마다 중간평가를 해서 성과가 없으면 중도 탈락합니다.김 : 유럽이나 미국은 물론이고 가까운 일본이나 중국도 유망한 연구자들에게 파격적인 지원을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사실 이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아이들은 넓은 방 안에 놓이면 구석이나 책상 밑에서 논다.물론 이들이 정신적으로
건
강하지 못한 상태는 아니다. 아이들이 구석으로 들어가는 행동은 어머니 배 안에서 있었던 편안한 기억 때문에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아이들이 구석으로 들어가려는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교수는 허블펠로우십을 만든 장본인이다.“젊은 과학자들이 연구에만 집중하는 여
건
을 만들어야 합니다. 저 역시 가장 중요한 순간에 허블 펠로우십으로 도움을 받았습니다. 가장 필요한 순간에 안정적으로 지원해 주는 게 연구의 핵심입니다. 결국은 사람이 가장 중요합니다.” 1기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스마트폰을 이용해 파리 소음지도를 만들었다. 만성적인 소음노출이 시민들의
건
강을 위협한다는 이유로 시작됐다. 파리에 있는 소니 컴퓨터과학연구소는 스마트폰의 ‘마이크’ 기능을 써서 소음을 측정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소음정보는 구글지도 형태에서 소음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