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새콤달콤 여름을 즐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알코올 발효, 메탄 발효 등이 있답니다.우리가 자주 먹는 김치와 치즈는 젖산 발효의
결과
물이에요. 김치와 치즈에 있던 미생물이 포도당을 이용해 젖산을 만들어낸 거죠. 한편 막걸리는 알코올 발효를 거쳐 만들어져요. 처음 막걸리를 담글 때 넣어 준 누룩이 쌀에 포함된 포도당을 완전히 분해하지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
를 조심하라!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 ...
[과학뉴스] 사냥의 명수, 카멜레온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속도가 느려지도록 한 거예요.쇠구슬이 구르는 속도를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해 분석한
결과
, 카멜레온의 침은 사람의 침에 비해 400배나 더 끈끈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또한 카멜레온은 먹이를 잡을 때 혀의 끝부분을 넓혀 혀와 먹이가 닿는 부분을 최대로 늘린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이러면 ... ...
[과학뉴스] 기억력을 높이는 운동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하면 더 잘 기억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해 본 적 있나요? 이런 고민을 해결해 줄 연구
결과
가 발표됐어요. 최근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학교 기옌 페르난데스 교수팀은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해 발표했답니다.사람의 기억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나뉘어요. 단기기억은 30초 정도 ... ...
[도전! 코드 마스터] 컴퓨터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아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우리나라 포털 사이트에서는 ‘지식in’ 등의 문답 서비스나 블로그, 카페의 글을 검색
결과
에 우선적으로 보여 줘요. 또 블로그 방문자 수나 방문자가 머무는 시간, 좋은 반응을 얻은 덧글을 검색 우선순위에 반영하지요. 사람들이 정보를 찾는 동안 포털 내에 계속 머물도록 하기 위해서랍니다 ... ...
벌레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4배나 증가했다고 해요. 실제로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4월, 야생진드기를 채집한
결과
725마리가 채집되어 지난해 4월에 채집한 411마리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어요.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과 용태순 교수는 “털진드기는 가을에 유충이 많아지므로 가을에는 특히 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하지만 영원히 지구 주변을 맴돌 것 같은 달이 매년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관측
결과
가 있어요. 지구에서 달로 레이저를 쏘면 달에 설치해 놓은 반사 장치에 빛이 반사돼 지구로 다시 되돌아와요. 그 시간을 측정해 지구와 달의 거리를 재는데, 이 거리가 매년 3.8cm씩 길어지고 있지요.이런 ... ...
[과학뉴스] 어디에도 척! 달라붙는 전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발린 접착제가 전극을 고정시키는 거예요.실제로 이 전극을 옷에 붙이고 생활을 해 본
결과
전극이 옷에서 떨어지지 않고 전기가 잘 통했답니다. 고흥조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등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팔목시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지요. 그
결과
더 빠른 기록을 세우며 우승할 수 있었답니다.상어를 닮은 비행기부터 물위를 떠서 나는 플라잉 요트까지! 앞으로 는 또 어떤 모습의 비행기가 탄생할까요? 또 어떤 신기한 탈것이 등장할까요? 친구들도 한 ... ...
[과학뉴스] 세계 두 번째 빛 공해 지역이 우리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수오미(Suomi) NPP’ 위성이 측정한 지구의 지역별 밤하늘 밝기를 조사했답니다. 연구
결과
, 밤하늘에서 은하수가 보이지 않는 수준의 빛 밝기를 빛 공해라고 했을 때 전세계의 80% 이상이 빛 공해를 겪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89.4%가 빛 공해에 노출돼 있었어요. 이건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