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59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비눗방울 위 태양전지 떴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미친 영향을 생생히 목격했다고 입을 모았다. 원정대는 19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150테라바이트의 자료와 1000개가 넘는 얼음 표본을 수집하고 복귀했다. 소프트 매터 제공 이 보트는 길이가 3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 굵기보다도 작지만 스스로 화학 반응을 ... ...
미국 첫 백신 접종은 자메이카 출신 간호사…"마스크 계속 써야"(종합)
연합뉴스
l
2020.12.15
일하는 간호사 샌드라 린지(52)는 14일(현지시간) 오전 9시30분께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팔에 맞았다. 뉴욕주와 미 언론들은 린지가 임상시험 참가자를 제외하면 코로나19 백신을 최초로 맞은 접종자라고 밝혔다. 미 식품의약국(FDA)의 지난 11일 긴급사용 승인에 따른 ... ...
체온 측정 스마트 반지 코로나19 확산 막는 첨병될까
연합뉴스
l
2020.12.15
미미하거나 느낄 수 없을 때 감염을 파악할 수 있었던 것에 고무됐다고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인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정신의학과 교수인 애슐리 메이슨 박사는 "착용 장치로 코로나19 감염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면 격리와 검사를 더 일찍 시작해 바이러스 확산을 막을 수 있다"면서 " ... ...
렘데시비르 코로나19 항체 못만드는 환자에겐 치료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감염병 및 면역치료연구소 교수, 매튜 버클랜드 영국 런던 바츠 헬스 임상면역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렘데시비르의 항바이러스제로써의 효능을 특수 사례를 통해 검증했다고 이달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된 항바이러스제 ... ...
루푸스 발병 원인 유전자 46개 규명…"정밀의료 기여가능"
연합뉴스
l
2020.12.14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 65개 기관에 소속된 총 102명의
공동
연구자가 참여한 프로젝트로, 현재까지 루푸스 유전자 연구로는 가장 규모가 크다. 분석 결과 루푸스의 발병과 연관된 유전변이가 있는 유전자 46개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지금껏 밝혀진 ... ...
코로나19 백신 효과 인구 40% 이상 접종시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교수, 미국 예일대 공중보건대 감염병모델링분석센터의 채드 웰스 연구진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은 지난달 30일 의학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미국에서 백신의 효과와 관련된 모델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미국 전체 인구의 40%가 백신을 접종하면 1년간 바이러스 ... ...
세계정보시스템학회 '리오상' 이재규 KAIST 명예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개발하고 있으며, 해외에 사이버 범죄가 85%인 점을 들어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한·중
공동
연구계획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세계정보시스템학회의 영예인 리오상 첫 한국인 수상자로 지목돼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정보미디어 시스템 연구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 ...
반달가슴곰과 불곰이 우표에서 만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우정사업본부는 한-러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맞아 러시아 우정과 함께 이들이 인쇄된
공동
우표 2종 총 67만2000장을 발행한다고 14일 밝혔다. 반달가슴곰과 불곰은 각국을 대표하는 야생동물이다. 반달가슴곰은 몸길이 130~190cm, 몸무게 150~200kg으로 야생에서 평균 20년가량 생존한다. 반달가슴곰은 ... ...
실험실에서 키운 한우 세포로 만든 스테이크 식탁 위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박사과정 연구원인 금준호, 이희재(맨 왼쪽에서 순서대로) 씨가
공동
대표를 맡고 있다. DGIST 제공 본사인 DGIST가 이렇게 기초 연구를 수행하면 광교에서는 실제로 고기를 만든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웰에이징연구센터에서 노화 관련 근육 연구를 한 조 본부장이 올해 2월 ... ...
2050년 ‘탄소중립’ 구현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현주소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5.4의 포항지진 여파로 CCS 실증연구가 잠정 중단됐다가 올해 들어 CCS 실증 연구가 다부처
공동
사업으로 재개됐다. 신영재 지질연 이산화탄소지중저장연구단장은 “포항에서 진행된 CCS 실증연구가 지진 영향으로 잠정 중단됐다가 올해 지진의 영향이 없다는 결론이 내려지면서 연구를 재개했다”며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