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안정하기"(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 [SW가 미래다 3] “더 좋은 답 있어도 정답 없는 게 SW식 사고”2015.04.17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핵심은 생각하는 능력”이라고 강조했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소프트웨어 교육의 핵심은 생각하는 능력입니다. 더 좋은 답은 있을 수 있어도 ‘정답’은 없다는 게 소프트웨어식 사고입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14일 본보 ... ...
-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유도만능줄기세포 임상 최전선, 고베 이화학연구소 르포2015.04.17
- 다카하시 마사요 프로젝트 리더는 지난해 9월 iPS 세포를 이용한 임상시험을 주도했다. - 고베=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제공 “일본 국민 모두가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좋아합니다. 2012년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彌) 교토대 교수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일이 ‘터닝 포인트’가 됐죠.” 8일 ... ...
- “열등감 많던 아이, 책이 바꿨죠”2015.04.15
- [편집자주] 과학의 달 4월도 반이 지났다. 하지만 사람들은 깊게 생각하고 함께 답을 찾는 ‘진짜 과학’은 외면하고, 디지털 세계와 스마트폰이 주는 얄팍한 즐거움에만 빠져들고 있다. 함께 책을 읽고 토론하는 문화가 더욱 아쉬운 시점이다. 과학책을 읽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왜 중요한지, 함께 ... ...
- 늘어났다 줄어들며 전기 만드는 ‘스타킹 전자소재’ 2015.04.15
-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고탄성 나노자가발전기. 최대 3배까지 늘어나면서 전기를 만들고 100회 이상 잡아당겨도 끄떡 없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마치 스타킹처럼 신축성이 뛰어난 전자소재를 개발했다.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최대 3배까지 늘어났다 줄어 ... ...
- 미래형 배터리 전기흐름 원리 찾았다2015.04.15
- 국내 연구진이 배터리 같은 전기화학 장치 내부에서 전류가 흐르는 물리학적 원리를 새롭게 규명했다. 미래형 고효율 배터리 개발이 가능한 기초, 원천기술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성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액체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는 나노유체역학장치를 이용해 nm( ... ...
- 발전소 전기 모았다가 24시간 활용2015.04.13
- 전력망은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 순간이라도 공급량이 사용량보다 낮아지면 ‘블랙아웃(대정전)’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풍력이나 태양광, 조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가 실용화되지 못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용량 ... ...
-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한다2015.04.12
- 예쁜꼬마선충의 신경세포 사진. 연구팀은 신경세포가 도파민 방출을 유도해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솔크대 제공 미국 연구진이 뇌 속에서 도파민이 위험감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규명해 ‘셀’의 자매지 ‘뉴런’ 9일자에 발표했다. 살라사니 스리칸스 ... ...
- [SW가 미래다 2] 로봇 공학도, 월가도 소프트웨어가 이끈다2015.04.10
- 데니스 홍 교수. - 데니스 홍 제공 “중학교 때 게임을 만들고 싶어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한 적이 있어요. 그때 경험이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데니스 홍(홍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의 별명은 ‘로봇 다빈치’다. 로봇 분야에서는 레오나르 ... ...
- 단 1분 만에 충전, ‘꿈의 배터리’ 나온다2015.04.07
- 미국항공우주산업협회(AIA) 산하 국제조정위원회(ICC)는 지난달 8일부터 항공기에 리튬이온전지를 대량으로 선적하는 것을 금지하고, 소량이라도 꼭 포장을 하도록 규정을 강화했다. 말레이시아 항공기의 실종 원인으로 리튬이온전지 화재 사고가 지목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알루미늄을 이용 ...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2015.04.06
- 왼쪽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손동익, 배수강 선임연구원, 박종혁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김정규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학부 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청정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하는 소재의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손동익 한국과학기술연 ... ...
이전5045055065075085095105115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