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소공학연구실
과학동아
l
200709
안의 압력변동과 화염이 타오르는 모습을 측정해 결국 안정적인 운전조건을 찾아냈다.신
교수
는 연소공학의 매력에 학생들이 좀더 관심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그는 “비선형성을 지닌 지수함수를 이용하는 연소공학이 젊은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도전거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미래 과학자 하나로 묶는 여름 축제
과학동아
l
200709
단연 ‘비누거품의 마술’과 ‘뮤직 스퀘어’. 영국 켄트대 물리학과 시릴 아이젠버그
교수
는 강의 내내 비누거품을 직접 만들면서 항상 최소표면적을 유지하는 비누거품의 특성을 설명했다. 강연을들은 이향진 양은 “마치 마술공연을 보는 듯 했다”며 “비누거품의 특성을 도로망이나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09
태생 하이델베르크·뮌헨·괴팅겐·파리 등지에 유학, 1866년 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
교수
로 부임하고 81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할로겐을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 러시아의 화학자 F K 바일슈타인이 고안하여 이렇게 명명되었다구리선을 분젠버너로 가열한 다음 여기에 미량의 ... ...
2007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과학동아
l
200709
“인생의 동반자를 찾다가 수학의 매력에 빠져들었지요.” 남몰래 짝사랑하던 여학생을 쫓아 수학과 강의실을 들락거리던 한 남학생이 훗날 수학의 대가가 됐다면 사람들은 믿을 ... 사장●사회문화 부문오준호(53)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교수
, 최정훈(51) 한양대 화학과
교수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09
밝혀지기 시작했다. 벨과 휴이시
교수
가 펄서를 발견한 순간이다. 이 공로로 휴이시
교수
는 1974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손가락 마디에 10만톤 넣는다? 펄서(pulsar)는 ‘맥동하는 별’(pulsating star)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외계인이 만들어낸 인공 신호로 착각할 정도로 우주전파가 규칙적으로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09
긴 시간과 노력을 들여 만든 금융상품에도 수명이 있을까. 한림대 재무금융학과 강병진
교수
는 “대부분의 금융상품에는만기가 존재하므로 수명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게다가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파생금융상품일수록 판매기간도 짧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매우 컸던 200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09
않는 우주에서 물이 어떻게 어는지 알아보는 실험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다.김
교수
는 “ISS에 있는 냉장고를 이용해 물을 얼리는 장치를 자체적으로 만들었지만 러시아 측이 냉장고를 우주인 혈액과 소변 샘플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실험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 ...
내 살은 양념 치킨 맛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
공룡 고기 맛을 알아 낸거예요?공룡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의 메리슈웨이처
교수
예요. 그녀가 2003년 우리 친구의 다리뼈 화석을 하나 발견했어요. 그 속에서 콜라겐 단백질을 뽑아 내 어떻게 생겼는지 분석한 거죠. 그랬더니 닭의 단백질과 비슷하다는 게 밝혀졌어요.기자 : 세상에! 6800만 ... ...
전기 통하는 초강력 종이 탄생
과학동아
l
200709
산소와 탄소의 결합력 덕분에 강도가 더 커지고 뭉치거나 말리는 성질은 줄었다.루오프
교수
는 “산화그라펜 종이는 결합 구조가 강하지만 유연하기도 해 휘거나 접을 수 있다”며 “전기 전도성도 조절할 수 있어 전도체, 반도체, 절연체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암컷 머리 속에 '수컷' 있다
과학동아
l
200709
‘스위치’인 셈”이라고 설명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과학과 정재승
교수
는 “사람의 뇌는 구조나 기능 면에서 남녀의 구별이 뚜렷한 편”이라며 “사람의 TRPC2가 쥐에서와 같은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 ...
이전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