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Nh), 모스코븀(Mc), 테네신(Ts), 오가네손(Og)으로 주기율표 등재를 공식 승인하면서 2016년에야 7주기 118개 원소로 이뤄진 주기율표가 완성됐다. 지금부터 발견될 원소는 8주기에 속하게 된다. 쌓음 원리에 따르면 7주기 원소는 7s, 5f, 6d, 7p 오비탈에 최외각전자를 갖는다. 하지만 앞으로 발견될 8주기 ... ...
- [10대의 약] 봄 꽃가루가 '악마'로... 알레르기 비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여부에 따라 1세대와 2세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종종 비염 약을 복용한 청소년 환자들이 피로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주로 1세대 항히스타민제 때문입니다. 클로르페니라민, 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트리플로리딘 등 1세대 항히스타민제 성분은 혈액뇌장벽을 통과해 중추신경을 ... ...
- 대학생이 발견했다! 새로운 '소수' 점화식수학동아 l2019년 04호
- 019년 1월 30일 미국수학회에서 발행하는 수학 잡지 ‘월간 미국 수학’에 소수를 만드는 점화식과 그 초항을 구한 연구가 실렸습니다. 논문을 쓴 주인공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 수학과에 재학 중인 딜런 프리드먼과 줄리 가불스키, 물리학과에 재학 중인 마씨 트론 플로렌틴 그리고 ... ...
- 전지훈련. 선수 맞춤식 데이터로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사실은 미국 프로야구 기록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평균 타구 발사 각도가 2015년부터 지금까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2015년 10.5°였는데, 2018년 12.4°로 증가했다. 미국의 경우 선수들의 수비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웬만한 타구는 수비진의 빠른 타구 위치 판단 능력과 송구 능력에 속수무책으로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점수가 많이 나면 재밌을지라도 지속되면 쫄깃한 야구 경기의 재미가 줄어든다. 최근 몇 년 동안 타고투저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원인은 다양한데, 공인구 반발력 문제가 대표적인 문제로 대두됐다. 이에 한국야구위원회는 올 시즌 타고투저 현상을 줄이기 위해 공인구의 반발계수를 낮추고 실밥의 ...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공천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보고 ‘나라도 나서야겠다’고 마음을 바꿨다. 그리고는 2년도 안 돼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으로 임명됐다. 정치에 타고난 능력이 있었던 걸까. 그의 마지막 말에는 그가 가진 파워의 힌트가 있었다. “과학자의 언어와 정치인의 언어는 조금 다른 것 같아요. 과학자들은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분야예요. 고대부터 통계는 국가를 운영하는데 중요하게 쓰였는데요, 로마 제국이 수백 년 동안 지중해 일대의 광활한 영토를 통치할 수 있었던 비결도 바로 인구와 토지, 재산 등의 데이터를 꾸준히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했기 때문입니다. 통계를 뜻하는 영어 단어 ‘Statistics’에 국가를 뜻하는 ... ...
- [화보] 섞으면 퍼즐도 예술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게다가 꼬마 녀석이 한 마리 더 보이는 것 같은데, 여러분도 찾으셨나요? 1978년과 1980년에 나온 두 퍼즐을 섞어서 만든 작품이에요. 귀여운 젖소 자동차? | 금방이라도 음메~, 하고 울 것만 같은 귀여운 젖소 아래에 타이어가 달려 있네요? 포크레인과 젖소 퍼즐을 합쳐서 만들었어요. 우리 집이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금지했지요. 그러면서 울산도 고래 포획지에서 고래 관광지로 탈바꿈했답니다. 1995년부터 시작된 ‘울산고래축제’는 지금까지 매해 여름 열리며, 울산의 포경 역사를 비롯한 고래의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예를 들어 고래박물관에는 주로 장생포에 남아있던 포경 유물 등이 전시돼 있으며, ... ...
- [가상인터뷰] 개구리 합창, 일정한 법칙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하지만 수만 마리가 모이면 서로 협력해 탑과 같은 멋진 집을 만들고 살아간단다. 191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곤충학자 윌리엄 윌러가 개미 군락의 일개미들이 모여 하나의 생명체처럼 행동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으며 무리 지능의 개념이 알려지기 시작했어. 아이하라 교수는 청개구리가 서로 ... ...
이전5055065075085095105115125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