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수학동아 l2009년 12호
- 필자는 전문 음악인이 아니기 때문에 이 글의 내용보다 더 깊은 수준을 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글만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어도 큰 어려움 없이 노래반주 중 조옮김까지 즉석에서 할 수 있다. 필자도 기타를 잡고 가끔〈Friends〉와 함께 〈Dr.Black Hole & Friends〉라는 이름으로 공연하고 있음을 밝혀 ... ...
- [수학에 길이 있다] 금융에 불어온 수학바람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오르락~, 내리락~. 빨갛고 파란 그래프가 뒤엉켜 춤을 추고 있어요. 8대의 모니터에 꽉 찬 그래프와 숫자는 멈출 줄 모르고, 회사 이름과 숫자가 열을 맞춰 빼곡히 차 있는 모습에 잠시 머리가 핑 돌 정도였어요. 눈동자만 굴리며 화면을 뚫어져라 쳐다보는 사람들 중에 오늘 만날 수학자가 있다는데 ...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남극의 펭귄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구촌 사람들의 신기한 습성을 소개하는 과학 다큐멘터리 ‘펭귄이 본 인간사회’입니다. 오늘 주제는 줄지어 걸어다니는 습성입니다. 사람도 우리 펭귄처럼 떼지어 걸어다니는 습성이 있는데요, 복잡하거나 좁은 곳을 지날 땐 질서 정연하게 줄을 지어 걷는 영 ... ...
- 매스큐브와 함께 수학 완전정복!수학동아 l2009년 11호
- 수학동아 친구들! 매스큐브라고 들어 봤나요? 수학을 완전 정복할 수 있다는 이 큐브를 찾아 왔어요. 서울 삼선중학교에 매스큐브의 개발자가 있다고 하는데, 소문에 의하면 개발자는 눈금 없는 시계를 보고 시시때때로 퍼즐을 즐긴다고 합니다. 매스큐브의 비밀이 궁금하다면 절 따라오세요! 특별 ... ...
- 어디서든 즐겨라! 디지털 TV의 밑그림을 그리는 수학수학동아 l2009년 11호
- 저녁 9시. 분주히 집으로 향하는 사람들. 알고 보니 인기 드라마 '선덕여왕'을 놓치지 않으려는 발걸음이었다. 그 사람드 사이에서 여유롭게 휴대폰을 꺼내는 준호. 버튼 하나 누르더니 회심의 미소를 짓는다. 그 순간 집에선 텔레비전 전원에 불이 들어와 자동으로 '선덕여왕'을 녹화한다.“상상하 ...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지난 10월 9일 한글날 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달 충돌 실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LCROSS(Lunar CRater Observation and Sensing Satellite), 즉 ‘달 크레이터 관측 및 감지 위성’은 달에 충돌체를 떨어뜨려 달 표면에 크레이터(구덩이)가 생성되는 과정을 관측하고, 충돌 때 달에서 분출되는 물질의 성분을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삼고초려의 재현이었다. 기상청 문을 두드린 지 세 번째 만에 ‘그’를 만날 수 있었다. 기자는 지난 4월 미국 오클라호마대의 켄 크로포드 석좌교수가 기상예보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그’로 선정됐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기상청에 전화를 했다. 하지만 불발. 기상청은 “외국 전문가를 영입할 ...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뚝딱뚝딱, 쾅쾅…. 서울 지하철 4호선 수유역에서 내려 10분 정도 버스를 타고 도착한 곳은 H 신학대다. 그곳에 한창 예배당을 짓고 있는데, 예배당 한쪽에서는 3층 천장까지 닿을 만큼 벽 전체를 가득 채우는 악기를 들여놓고 있다. 바로 파이프오르간이다. 오래된 성당에서도 볼 수 있는 파이프오르 ...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어린이과학동아’ 만화 주인공들이 책을 뛰쳐나와 서로 이야기를 하고 노래도 부르며, 움직이기까지 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면 에볼루션 파크에서 공룡이 결투를 벌이고, 에코가 폴루터를 멋지게 물리치는 모습을 한층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을 텐데 말이야.그래서 우리는 직접 만화를 살아 ...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수학동아 l2009년 11호
- 4000여 년 전, 이집트의 미네프 쿠푸란 곳에서는 왕의 무덤비문에 왕의 권위를 전하기 위해 상형문자로 암호를 만들어 사용했어. 그 당시 이집트인들은 다른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하는 비밀 문자에 신비한 마법의 힘이 있어 죽은 자를 축복한다고 여겼거든. 이렇듯 암호의 역사는 매우 오래됐어. 하 ... ...
이전5055065075085095105115125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