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끊이지 않았던 새만금 간척사업이 다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 7월 15일
서울
행정법원은 새만금 사업을 잠정 중단하라는 집행정지 명령을 내렸다. 법원의 결정은 사업을 추진하던 정부의 반발로 이어져, 다음날 김영진 농림부 장관이 사퇴의사를 밝히고 결국 물러났다. 7월 18일에는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1998년 일본 최대 화장품 회사인 시세이도는 이 업계의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기상천외한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우주왕복선에 장미를 탑승시켜 우주에서 피는 장미의 향기를 포착한다는 내용이다. 그해 우주로 출발한 디스커버리호에는 정말 막 피어나려는 꽃봉오리 두개가 달린 장미 한그루가 동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생각입니다.”지난 4월 ‘과학의 달’ 제1회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한
서울
대 약학과 김규원 교수(51)는 자신의 연구를 이렇게 요약했다.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말 그대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수한 과학기술인에게 대통령이 수여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상이다. 상금이 3억원이나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사용한다. 디지털시스템컨트롤러가 아날로그 신호로 바뀐 음향을 주파수별로 분리한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 메가박스 영화관의 장영욱 영사실장은 “주파수별로 소리를 분리하는 것이 영화관의 음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1.5kHz 이상의 고음, 1.5kHz-3백Hz의 중음, 3백Hz 미만의 저음으로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유전정보의 오·남용 사례와 방지책’에 대한 연구결과 발표가 있었다. 이 자리에서
서울
대 생물교육학과의 김희백 교수를 비롯한 연구팀은 그동안 한국에서의 유전자 검사 실태와 유전정보에 따른 보험 등에서의 차별대우 문제점 등을 조사해 발표했다.이날의 발표는 ‘생명과학과 ELSI 연구’ ... ...
터널운전 왜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재빨리 선글라스를 벗어 사고를 면했지만 놀란 가슴은 한동안 진정되지 않았다.최근
서울
홍지문 터널에서 버스가 전복되는 등 터널 교통사고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 실제로 자동차 운전을 할 때 일반 도로보다 터널이 더 위험하다. 터널 안에 들어서면 교통 조건이나 운전자의 감각이 갑자기 ...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1977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그리고 16개 국어로 번역된 베스트셀러인 ‘혼돈으로부터의 질서’의 저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일리아 프리고진(Ilya Prigogine). 그가 2003년 5월 28일 86세를 일기로 벨기에 브뤼셀에서 운명했다. 그의 삶과 업적을 조명해보자.어린 시절 꿈은 피아니스트프리고진은 1917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계속 이어지면서 터널 화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6월 6일
서울
홍지문 터널 화재가 발생했다. 유독가스로 가득 차고 칠흑같이 어두운 터널을 빠져 나오다 비명을 지르고 신발이 벗겨지는 등 사고현장이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터널 화재는 어떤 특성을 갖고 있기에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이른 나이였다.이와 함께 박 교수는 1990년대 초까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
서울
대 교수협의회 부회장 등 다양한 대외활동을 했다.“교수님은 수많은 논문을 쓰셨는데, 이렇게 바쁜 와중에도 언제 그렇게 논문을 쓰셨나요?”“1966년 전임강사가 됐을 때부터 세미나를 시작했어요. 당시에는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일본, 뉴질랜드뿐이다. 유럽에서도 일부 연구가 진행중인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대 비파괴품질측정기술연구실에서 약 8년 전 개발하기 시작한 후, 현재 기술 개발이 완료돼 국내의 과일 선별기에 장착돼 가동중이다. 현재 사과 배 복숭아 감귤 단감 수박 참외 멜론 등 국내 주요 과일에 ... ...
이전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