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481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기-간빙기 반복에 해저지각이…
2015.02.06
압력이 커져 맨틀의 녹는점이 높아지면서 지각 생성이 적었다. 홍종국 극지연구소
책임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지구 대기 상태의 변화가 지각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박 연구원이 논문의 유일한 한국인 ... ...
튜링은 어떻게 독일군의 암호를 풀었나
2015.02.06
인간인지 구분하는 인공지능 판정 시험이다. 이지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
연구원은 “현대 컴퓨터는 튜링 기계를 발전시킨 것”이라며 “슈퍼컴퓨터나 양자컴퓨터도 기본적으로는 튜링 기계의 개념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천재 수학자였던 튜링의 말년은 비참했다. 그는 당시 영국 ... ...
한국연구재단, 공공기관 부패방지 최우수기관 선정
2015.02.05
밝혔다. 문병룡 한국연구재단 감사는 “이번 선정을 계기로 공공기관의 모범으로서 더욱
책임
감을 갖고 연구자뿐 아니라 국민에게 신뢰 받는 청렴한 재단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04
수 있는 신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서부센터 한옥희
책임
연구원팀은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바라) 한송이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료전지의 전해질막으로 주로 사용되는 ‘나피온(Nafion)’이라는 물질의 성질을 처음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 ...
[청년드림]“3D프린팅이 산업구조 바꿔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 올것”
동아일보
l
2015.02.04
구조가 바뀔 것입니다.” 최근 한국3D프린팅협회장에 취임한 최진성 SK텔레콤 최고기술
책임
자(CTO·사진)는 2일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3D프린팅 산업이 한국의 창조경제를 이끄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설비시설을 갖춘 공장에서 물건을 만드는 시대였다면 앞으로는 ... ...
러-우크라 관계 악화, ‘아리랑 3A호’ 발사 문제없나
2015.02.03
중단 및 드네프르 프로젝트 중단을 통보받은 사실이 없다고 3일 밝혔다. 아리랑 3A호 사업
책임
자인 최석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단장도 “아리랑 3A호 발사 업무를 맡고 있는 ISCK(ISC 코스모트라스) 측과 3일 원격 회의를 진행한 결과 아리랑 3A호 발사가 계획에 따라 추진 중인 사실을 확인했다”고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외에도 이화학연구소 소속의 논문 공저자까지 조사 범위를 넓혔고, 이 중 일부는 결코
책임
이 가볍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박사는 “아직 징계 조치가 발표되지 않은 만큼 연구소 안에는 여전히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고 말했다. 오보카타 박사의 멘토이자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 ...
로봇 원격 조종해 방사능 오염 원자로 해체
2015.01.30
조종간에 뭔가 닿은 느낌이 드는 순간 화면 속 로봇팔이 벽에 부딪히며 멈췄다. 최병선
책임
연구원은 “원전의 ‘심장’으로 불리는 원자로는 방사능 오염이 너무 심해 사람이 직접 해체작업을 진행할 수 없다”면서 “시뮬레이터로 로봇을 원격조종해 원자로를 철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전 ... ...
액정 모니터는 네모에 딱딱하다고?
2015.01.29
가진 신개념 액정 제조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김윤호 한국화학연구원
책임
연구원 팀은 김신현 KA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미세유체소자 기술과 액정배향제어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액정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액정은 화질이 선명하고 우수해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력 제품이 ... ...
토종 수소 무인비행기, 1시간 초과 비행 첫 성공
2015.01.29
비행기로 일체의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양철남 재료연구소
책임
연구원 팀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연료전지 비행기를 개발하고, 3년에 걸친 시험 끝에 80분 비행에 처음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초창기 수소연료전지 무인비행기는 40분을 채 날지 못했으며, ... ...
이전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