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수 있어요. 또 순서를 하나라도틀리면 원하는 행동을 시킬 수 없지요.이렇게 일을 쪼
개
고 순서대로 조합하는 과정이 바로 코딩의 기본인 ‘알고리즘’이에요. 또 이 과정에서 일을 논리적으로 처리하는 ‘컴퓨터 사고’가 적용되지요. 교육에 참여한 이연서(서울 별내초 2) 친구는 “캐릭터의 규칙을 ... ...
[과학뉴스] 태양빛으로 세계일주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일본에 머물며 비행기를 수리하기도 했답니다. 결국 계획했던 5
개
월보다 훨씬 긴 16
개
월이라는 시간이 걸렸지요.비행을 마친 보쉬베르는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준 도전이었다”며 소감을 밝혔답니다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이번 리우올림픽에서는 더 뛰어난 장비가 첫선을 보여요. 포토셀의 경우 두
개
에서 네
개
로 적외선을 더 많이 쏘아요. 그 결과 선수들이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간에 몸의 움직임을 더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지요.또 기존에는 1초에 2000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던 미세분할 비디오 시스템을 1초에 1만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하셨어요. 그리고 바로 그 순간! 정말 눈앞에 상괭이 떼가 나타났어요!“이 정도면 100
개
체 이상은 될 거예요.”연구원의 설명처럼 살짝 드러나는 등으로는 숫자를 어림잡을 수 없을 만큼 많은 상괭이가 보였어요. 새끼와 함께 유영하는 엄마 상괭이부터 놀이를 하는 듯한 상괭이 가족까지 모두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빨라졌답니다. 또한 자기장의 주파수를 조절하면 구슬들의 연결이 끊어져 작은 로봇 두
개
로 변하기도 했지요.김민준 교수는 “이 로봇은 속도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시시각각 변하는 몸속 환경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μm : 마이크로미터로, 1cm의 1만분의 1.2 ... ...
[헷갈린 과학] 망고 vs 파파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한
개
들어 있는 반면, 파파야는 하나의 열매 속에 까맣고 동글동글한 씨앗이 여러
개
들어 있거든요. 또한 파파야는 망고에 비해 단맛이 덜 하고 독특한 향이 진하게 난답니다.파파야 과육에는 ‘파파인’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요. 파파인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어서 소화제를 만들거나,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건설 비용이 절반만 든다고 가정해 봐요. 이 경우 최소 비용을 위해서는 다리 두
개
를 짓는 게 더 좋은 방법이랍니다.최소 비용이 드는 경로를 찾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크루스칼 알고리즘’과 ‘프림 알고리즘’이지요.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비용이 적게 드는 순으로 경로를 하나씩 ... ...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독일처럼 반려견을 사고팔지 못하도록 해야 해요. 하지만 현재로서는 번식장의
개
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목이 기다란 기린 표본을 자세히 보며 목뼈의
개
수도 세어봤어요. 기린의 목뼈는 몇
개
일까요? 정답은 사람과 똑같은 7
개
! 대신 목뼈 하나의 크기가 28cm 정도로 길기 때문에 목이 아주 길답니다. 기린은 키가 6m 정도까지 자라는데, 심장에서 머리끝까지 혈액을 보내기 위해서 엄청나게 힘이 센 심장을 ...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모양을 만들기 위해 조각을 요리조리 붙여보며 떠들썩한 시간을 보냈답니다. 처음에는 고
개
를 갸우뚱하던 친구들도, 칠교 도형끼리 서로 변 길이가 같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도형들을 딱 맞출 수 있게 되었지요.실험에 참여한 주현승 기자는 “1~3학년 친구들이 고학년보다 모양을 더 잘 맞춰서 깜짝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