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옹이
나비
고냉이
괭이
나비야
늙은 암코양이
소녀
d라이브러리
"
고양이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인공심장, 제2단계로
과학동아
l
198804
5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0년 깁스(Gibbs)라는 학자가 인공심장을 개발, 개와
고양이
에게 실험을 한 것이다. 이어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거치면서 시행착오를 해오다가 1971년 콜프박사의 소에 대한 인공심장이식 성공으로 큰 전기를 맞았다. 인공심장을 이식받은 소가 최고 6달까지 생존한 것. ... ...
수면 물질의 추적 왜 잠을 자게 되는가
과학동아
l
198804
펩타이드’를 합성했으며, 크뤼거는 하나의 변이형 뮤라밀 디펩타이드(MDP)가 생쥐·토끼·
고양이
·원숭이에게 주입될 때 평상시보다 더 많은 비─REM수면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증명했다.(REM 수면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람에게 MDP를 시험삼아 써 본 적은 없다. 효과상 약간의 지연 현상이 일어난다.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02
난소암이 나타났고 3녀는 백혈구 수치가 높아갔다. 사고후 주변지역에서는 기르던 개나
고양이
가 죽고 새의 사체가 많이 발견되었으며 가을도 아닌데 나무잎이 말라 떨어졌으며 목장에서는 소가 변사하고 무뇌증이나 사지의 길이가 다른 송아지가 나는등 이상이 잇따라 일어났다. 가축의 이변 폐사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8801
腹內側核)에 교감신경 중추가 있다. 이곳을 전기로 억제하는 자극을 주어 보았다. 그러자
고양이
가 잠을 자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실험은 전기수면기라는 인간용의 수면촉진기 개발로 이어졌다. 거꾸로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각성시키는 전기각성기도 개발되고 있다. 전기수면기를 사용하여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12
무릎, 발목 등 30개소를 자극해야 하지만 세발자전거를 타는데는 3개소 만으로 족하다.
고양이
실험으로 충분히 테스트를 해 보았다. 인간의 경우도 잘 될 것이라는 결론이 내렸다. 시판하고 있느 세발자전거 뒤쪽의 화물대에 작은 컴퓨터를 싣고 대학 구내를 자유롭게 왔다 갔다하는 낸시의 ... ...
로봇 인공지능 갖는 인간의 동반자
과학동아
l
198710
사치는 애완용 로봇을 장만하는 것이다. 고도의 마이크로칩을 장착한 로봇개나 로봇
고양이
를 데리고 공원을 산책하는 모습이 자주 눈에 띌 것이다. 이미 일본에서 이런 시도가 있지만, 21세기의 맹인용로봇은 여러가지 센서와 기억된 지도를 간직해 주인이 버튼만 누르면 원하는 곳까지 가거나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10
있고, 방향탐지를 위하여 2백KHz의 초음파를 이용한다. 이 수치는 사람(20KHz) 개(35KHz)
고양이
(47.5KHz) 박쥐(95KHz)의 가청한계에 비하여 단연 월등하다. 돌고래는 박쥐와 같이 초음파를 내어 그 방향음으로 방향을 알고 장애물과 먹이를 탐지한다. 뿐만 아니라 여느 동물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가청권내의 ... ...
남자와 여자는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07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는 것을 밝힌 동물 실험이 있다. 미국의 실험심리학자 '비치'가
고양이
와 쥐를 사용한 실험이다. 암컷의 대뇌를 떼어 내버려도 교미행동은 변함없이 하는데 수컷의 대뇌를 떼어내 버리니까 교미가 되지 않았다. 이는 수컷쪽이 교미 뿐만 아니라 생리행동 전반에 걸쳐 이성적 ... ...
고양이
끼리 에이즈 전염
과학동아
l
198706
이상과 빈혈증상도 일으켜 발병후 2년안에 죽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바로는
고양이
의 에이즈 바이러스는 인간의 임파구로는 증식되지 않아 감염될 걱정은 없다는것이다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05
보고도 있으며 대부분의 곤충들이 60~90cm거리 만을 볼수 있다고 한다. 또 빛이 약해지면
고양이
처럼 동공을 벌리어 빛을 더 많이 받아 넣을수도 없을 뿐 더러 어둠침침한 환경속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러나 곤충들은 인간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파장의 자외선을 알기도 하고 ... ...
이전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