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소"(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제비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였어요. 하지만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어 보호가 필요한 종이지요.올해 제비 탐사 목표는 제비 보호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거예요. 대원들은 제비 둥지를 찾아 제비가 어떤 환경에서 사는지, 언제 몇 개의 알을 낳는지, 새끼가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필수적인 단백질 생성을 방해하는 siRNA를 주입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꿀벌의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진드기 방제나, 유독성 살충제(DDT) 사용으로 논란을 빚은 콜로라도감자잎벌레 퇴치에도 siRNA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miRNA와 siRNA는 작은 RNA의 전부가 아니다. 새로운 작은 RNA가 계속해서 ... ...
- [과학뉴스] 광합성의 적, 해충보다 더위!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도시온난화로 더워지면서 이 지역에 사는 졸참나무가 저장한 탄소량이 예년에 비해 12%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10월 5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햇빛이 약 85% 가량 줄고 온도는 3~5년 동안 평균 15°C로 낮아지며, 강수량은 80% 정도 감소한다고 예상했다. 기온이 많이 떨어진 데다 극심한 가뭄까지 오면서 물가에 사는 악어나 상대적으로 따뜻한 지역에 살던 일부 포유류는 살아남을 수 있었지만, 공룡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 ... ...
- [과학뉴스]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노력이 많이 필요한 일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대마초가 사람의 동기나 관심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을 통해 증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정신약리학’ 저널 9월 2일자에 실렸다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어떤 미생물이 늘면서 다른 미생물이 감소했을 때 이유를 밝히기 어렵다는 뜻이다. DNA 각각이 어떤 기능을 하고 이것들이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DNA를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DNA의 양이 달라진다거나(J Diabetes Metab 2014, 6:1), DNA 분석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doi:10.1016/j.toxicon.2014.12.005). 연구팀이 기생충을 독에 노출시킨 결과, 기생충의 활동이 감소하고 일부는 죽기도 했다. 만약 이 가설이 옳다면 어미가 새끼의 털에 독을 발라주는 행동도 설명이 가능하다.물론 독이 공격용으로 쓰일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느림보원숭이가 무언가에 놀랐거나 ... ...
-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줄기세포에서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을 생성하는 효소를 감소시키면 줄기세포의 전분화능과 자가 복제에 심각한 손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줄기세포 분화 초기에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양을 증가시키면 줄기세포 분화가 지연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품종의 밀을 교배육종한 ‘앉은뱅이 밀’을 개발해, 1960년 약 60%에 달하던 기아를 17%까지 감소시켰다. 지금은 교배육종이 아무 문제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당시만 해도 환경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매우 많았다.수상자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여기까지다. 물론 GMO가 과학적인 ... ...
- [과학뉴스] 2099년, 아델리펭귄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기후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서남극반도를 따라 아델리펭귄 개체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또 이 자료를 지구 기후변화 모델에 적용했더니, 아델리펭귄의 개체수가 2060년까지 현재의 최대 43%, 2099년까지는 최대 64%로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구의 제1저자인 메간 시미노 박사는 “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