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급"(으)로 총 2,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도국에서는 거의 활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유비콜 덕분에 백신이 충분하게 공급되고 있다. 경구용 콜레라 백신은 지금까지 방글라데시와 에티오피아, 인도, 아이티, 말라위, 남수단, 기니, 이라크 등에서 500만 도즈 이상이 사용됐으며 WHO는 홍수, 재난 등 위기에 대비해 비축분을 확대하고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들지만 백신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한 경우 백신을 공급할 수 없다. 또 계란의 성분이 백신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계란에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는 백신을 맞을 수 없다. 세포 배양 방식은 어떤 질병이 유행할 때 이에 대응하는 백신을 빨리 만들 수 있고,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실험 데이터를 축적해 왔고, 그 중에서 수백 종류 이상을 도예가들과 도자기 제조업체에 공급했다. 황 교수는 “새로운 유약을 개발하는 과정은 수만 가지 배합과 경우의 수에서 마음에 드는 한 가지를 찾는 과정”이라며 “보통 원하는 유약 데이터 하나를 얻는 데 1년 정도 걸린다”고 말했다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컵(100mL) 정도 되는 양을 얻을 수 있다”며, “재난 지역이나 중국과 아프리카 처럼 수도 공급이 어려운 나라들에게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선 이렇게 많은 노력이 필요하구나. 이제야 물의 소중함을 알았어. 그동안 물을 낭비한 게 부끄러워지는걸….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트륨의 도움이 필요하다. 여기에 필요한 나트륨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면 중성지방이 혈액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계속 축적된다.나트륨은 인체 세포막의 전위차와 체내 삼투압을 유지하며, 신경세포의 신호 전달과 영양소 흡수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한다. 소금 부족이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볼 수 있다. 기술적으로는 한국전쟁이 끝난 뒤에야 빵의 주재료인 밀가루가 원활하게 공급됐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인 빵 역사는 지금까지 약 70년 동안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하지만 아시아의 모든 나라가 서양으로부터 빵과 제빵 기술을 전해 받은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이버그를 만들 수 없어요. 이 때문에 가볍고 작은 배터리를 만들거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요.광주과학기술원 이종호 교수팀이 개발한 1μm(백만 분의 1미터)의 아주 얇은 태양전지(위 사진)가 대표적인 예지요. 이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바꾸는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세포를 배양해 만든 인공 자궁 내막은 성호르몬에 반응하고, 임신 초기에 배아에 영양을 공급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자궁 유상액을 분비했다.월경 주기에 따라 자궁내막이 점점 두꺼워지면서 임신을 준비하고, 임신이 되지 않은 경우 생리 때와 같이 조직이 무너져 내리기도 했다. 연구팀은 인공자궁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국에 없다. 이형민 팀장은 “최신 항생제가 없는 것은 해외 제약사가 우리시장에 공급하지 않은 것으로 제도상의 문제 때문”이라고 말했다.이유는 단가다. 류충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우리나라에서 먹고 있는 항생제는 비싸도 1000원”이라며 “외국 제약사가 개발한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최근 웨어러블 소자와 사물인터넷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백 교수는 이들에 전기를 공급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주변의 에너지원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을 떠올렸다”면서 “특히 정전기 현상을 이용한 나노발전기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