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유"(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명의 피부 미생물 군집은 눈에 띄게 달랐으며(위 사진), 두 사람이 같은 계통의 미생물을 공유하고 있을 확률은 13%에 그쳤다. 또 엄지 손가락과 같은 특정 위치의 피부에 분포하는 미생물이 다른 위치의 피부에서 발견될 확률도 비슷하게 낮았다.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증거로서 미생물의 가장 큰 ... ...
- [과학뉴스] 새로운 족보를 갖게 된 공룡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공룡보다 작은 앞니, 어금니처럼 규칙적으로 놓인 치아 등 21가지의 해부학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지요.즉, 티라노사우루스가 브론토사우루스보다 트리케라톱스나 스테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관계라는 거예요. 연구팀은 이들을 묶어 ‘오르니소스켈리다(Ornithoscelida)’라는 이름을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팀의 이현근(고양 발산중 1), 이성근(고양 오마초 5) 대원은 맹꽁이 탐사 경험을 공유했어요. 벌들의합창 팀의 현준서(여주 상품중 1) 대원도 1년간 쌍살벌의 한살이를 꾸준히 관찰한 경험을 풀어놓았지요. 또 2012년부터 지사탐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닥터구리 팀은 굼벵이가 땅 속에서 기어 나와 ... ...
- Part 5. 3D프린터, 트랙터까지 내 손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어과동 친구들도 착한 과학에 관심을 갖고, 혹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면 꼭 공유해 주길 바랄게. 안녕!▼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Part 4. ...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생존할 수 있다. 자기유사성은 마치 프랙탈처럼 모든 식물이 근본적으로 같은 모양을 공유한다는 성질이다.이전 연구에서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돌기와 축삭이 뻗은 모양도 같은 함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특성 역시 같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두 연구에 모두 참여한 찰스 스티븐스 연구원은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방식으로 3년 동안이나 무리를 유지했다.이외에도 과학자들은 바퀴벌레가 먹이를 먹거나 공유하는 방식, 분비물에 페로몬을 넣어 동료를 부르는 방식 등을 연구해 바퀴벌레를 실내에서 효과적으로 내쫓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3억 년 넘게 멸종되지 않았을 만큼 강인한 생명력을 연구한 뒤 ... ...
- [과학뉴스] 시선이 어디로 갈지 유전자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약 17ms(1ms는 1000분의 1초)의 시차를 두고 안구 운동이 거의 일치했다. 반면 유전자를 50% 공유하는 이란성쌍둥이는 안구 운동의 10%만 동일했다. 시선 이동이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이 깊다는 뜻이다.연구를 주도한 워싱턴대 의대 정신의학과 존 콘스탄티노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자폐증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근연도는 ‘관계 계수’, 즉 두 개체가 어떤 유전자를 공통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아 공유할 확률(따라서 0과 1 사이의 수)에 매우 가깝다고 했다. 가깝다고만 했지, 똑같다고 말한 적은 없음에 유의하시라. 1964년 당시에도 해밀턴은 근연도의 진짜 의미가 ‘개체군 평균에 비해’ 행위자와 상대방이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학생도 쉽게 할 수 없는 높은 수준의 연구였다.아이디어·경험 공유의 장본선은 8월 23일부터 2박 3일 동안 경기도 가평에 있는 한화 인재경영원에서 열린다. 2차 예선을 통과한 연구 아이디어를 직접 실험으로 구현해 그 과정과 결과를 겨루는 자리다. 본선 현장에서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다. 여기에 둘 이상의 양자가 서로 특성을 공유하는 ‘양자얽힘’ 현상까지 더해진다. 이를 통한 양자암호통신은 도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완전한 방패 기술로, 나아가 일정 거리 내에서 정보를 순식간에 이동시키는 ‘양자 텔레포테이션’으로도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