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현"(으)로 총 1,38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가슴에 있는 조종석에 들어가는데, 애니메이션에서 봤던 첨단 조종 환경이 그대로 구현돼 있다. 조종사는 로봇의 머리에 달린 카메라가 찍는 영상을 헤드업디스플레이(HUD)로 보면서 로봇을 조종한다. 조종 장치는 구라타의 상체를 본뜬 모습으로, 팔 모양인 조종장치를 잡고 움직이면 그와 동시에 ... ...
- [수학뉴스] ‘모아나’ 속 바다를 만든 건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수학과 교수팀과 월트 디즈니 소속 연구팀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동감 넘치는 바다를 구현했습니다.컴퓨터 그래픽으로 파도를 만드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정확한 풀이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파도를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KIST)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박사팀이 그래핀 위에 수십 ㎛ 패턴을 구현해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앞 쪽 ➏). 지난해 3월에는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사람의 날숨을 통해 질병과 관련된 유기화합물 가스를 분석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정보 의학 시대가 오면 환자와 함께 정보를 공유하는, 이른바 ‘의학의 민주화’를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이런 정보 의학이 실현된다면 우리는 아래와 같은 유전자 진단서를 받아볼 수 있다.이런 진단서를 언제 어디서나 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제안한 기업도 있다. 미국의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구글의 다중언어모델은 적은 데이터로 보다 정확하게 번역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으로 학습을 시켰는데, 그 중 여러 언어를 동시에 하나의 언어로 번역하도록 한 학습법은 모든 언어 쌍에서 번역 성능을 향상시켰다. 같은 뜻을 가진 한국어와 일본어 문장을 한번에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가 필요하다. 강 교수는 “기존에 제안됐던 덧셈기의 경우 2진 소자를 기반으로 회로를 구현하려고 했기 때문에 회로가 아주 복잡했다”며 “이번 연구는 0, 1, 2라는 입력값을 다시 2진법으로 변환해 계산하는 방식을 탈피해 복잡도를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말했다.하지만 덧셈기와 곱셈기는 설계의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최적화 기술을 적용하면 로봇의 운동 능력도 사람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런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에는 요리하는 로봇, 빨래 개는 로봇, 간병하는 로봇 등 사람과 함께 교감하고 사람처럼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로봇이 나올 전망이다. 우리 삶에 로봇을 어떻게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해법 될까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UC산타바바라에 거액을 투자해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구현하는 연구소를 세우고 20년 동안 지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응집물질물리학자들이 이토록간절히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만들려는 이유는 이 입자가 가진 특별한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정확하게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지만, 전 세계 생체공학 연구소들이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뛰고 있기 때문에 곧 눈에 보이는 성과가 나올 것이다. 한국도 2015년부터 정부에서 전자의수 개발을 위한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데,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할 한국형 전자의수가 곧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놓고 보면 어렵지않아 보이지만, 이를 마이크로미터(1000분의 1mm) 단위에서 정교하게 구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연구팀도 수많은 실패를 거듭했다. 최교수팀이 로봇을 만들어 보냈지만 거기에 신경줄기세포를 심을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줄기세포를 배양하려면 배양액 속에 로봇이 고정돼있어야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