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발급된 ISBN은 총 13개의 숫자로 이뤄졌습니다. 앞의 12개 숫자에는 그 출판물을 출간한 나라와 출판사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죠. 그런데 열세 번째 숫자는 특별한 정보 없이 앞의 12개 숫자에 수학적인 알고리듬을 더해 정합니다. 이 숫자를 ‘체크 숫자’라고 합니다.체크 숫자는 이렇게 정합니다. 우선 ... ...
- 탄소배출의 주범이라고? 공장이 변하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이다. 증기 터빈을 모터로 바꾸고, 열분해로를 전기분해로로 대체하는 식이다.많은 나라에서 빠른 속도로 전기화를 도입 중인데, 이때 사용되는 전기는 재생가능에너지로 생산한 청정 전기여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전기를 사용하는데 이 전기를 만드는 데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닌 지역을 지정해서 앞으로 영원히 잘 보전하려는 프로그램이에요. 전 세계 거의 모든 나라가 참여하고 있지요. 심사하러 가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지질 자연을 구경할 수 있으니, 저는 정말 세상을 최고로 즐겁게 사는 지질학자라는 생각이 들어요! ※필자소개. 우경식(강원대학교 ... ...
- 8년 만에 확~ 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은 오를까? 내릴까?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전기요금을 개편한 핵심적인 이유이기도 하죠.한국은 석유가 한 방울도 나지 않는 나라입니다. 강원도에 비교적 널리 분포하는 석탄으로 인해 태백 지역이 과거 탄광촌으로 유명했지만 지금은 석탄을 전처럼 많이 사용하지 않죠.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의 대부분은 석탄과 석유, 액화천연가스 ... ...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카카오맵은 “한국어판 세 단어 주소가 영어판을 그저 번역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 적합한 한국어 단어들을 선별해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인터뷰 "드론 배달 가능하려면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요해요"_크리스 쉘드릭 what3words 창업자 Q. 세 단어 주소가 필요한 이유는 뭔가요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사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입니다. 미국의 시장 조사기관 퓨리서치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휴대전화 보급률은 100%고, 이중 스마트폰 사용자가 95%나 돼요. 어과동 친구 중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친구들이 있죠? 다음 시간에는 디지털 세상의 통로, 스마트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 ...
- [만화뉴스] 멈추지 않는 인구 감소! 어린이가 줄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우리나라 인구가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1년 3월 31일 ... 큰 타격을 입습니다. 돈을 쓰는 사람이 줄어들어서 기업이 돈을 벌기가 힘들어 지고, 나라에 세금을 내는 사람도 줄어 국가 운영이 어렵기 때문이에요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교수는 “지금까지 ‘살 만한’ 나라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면 앞으로는 ‘살고 싶은’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며 “모두가 모두를 챙기는 사회를 꿈꾼다”고 답했다. ● 젊은 과학기술인의 목소리가 돼 준 박대인·정한별1월 4일 화상으로 만난 박대인 비플렉스 이사, 정한별 KAIST ... ...
- [과학동아x긱블] 되네르 케밥 기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속담은 그 나라의 문화를 반영합니다. 나라마다 문화가 다른 만큼 속담도 다른 나라 사람이 쉽게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전 세계 어디서나 찾아 볼 수 있는 속담도 있습니다. 아래 속담이 바로 그중 하나입니다. ‘Hunger is the best sauce’(영미권)‘Голод - лучший повар’( ...
- [과학뉴스] CERN의 앨리스 검출기 센서 국내 연구진이 양산 시험 성공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초기 물질의 형성 과정을 알아내는 것이 목표다. 이 실험에는 한국을 비롯해 39개 나라 175개 기관, 1900여 명의 과학자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연세대, 인하대, 부산대를 비롯해 7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납 원자핵이 충돌해 만들어지는 초고온(태양 중심의 10만 배가량)계의 다양한 현상들을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