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전"(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가우가~ 함께 춤을 춰요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탈’을 출품한 이극희(인천 간재울초) 교사와 ‘두 마리의 사슴’을 찍은 김도현(대전 외국인학교) 군이 각각 일반부와 중·고등부에서 대상을 받았다. 주요 수상작을 지면에서 만나보자.※ 올해 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충청북도, 충북대가 주최하고 오송국제바이오산업엑스포조직위, 국가지정 ...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거예요. 장미랑 똑같이 생겼던데, 둘이 어떻게 다른 거죠? -이진주(대전 중앙초 6)엘라티오르베고니아 처음 본 사람들은 장미라고 착각할 정도로 꽃 모양이 장미꽃과 매우 비슷해요. 그래서 ‘장미베고니아’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구근베고니아와 베고니아 소코트라나를 교배해서 1885년에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전투에는 ‘란체스터 법칙’이 통용된다. 영국 발명가 프레드릭 란체스터가 제1차 세계대전의 항공전 기록을 분석해 1916년에 발표한 전투 법칙이다. 이 공식에 따르면 공격자와 방어자 간의 상대적 힘을 계산할 수 있다. 그 중 란체스터 제2법칙에 따르면, 해상전이나 항공전 같이 수준이 높은 원거리 ...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거기서?”“응, 그때 말한 놀이기구 정말 재밌겠다!” “하하하!”우리 반 친구들이 휴대전화 메신저 채팅방에서 대화하고 있어. 어린이날에 다함께 놀이동산에 가기로 했거든. 그런데 왜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말하지 않느냐고? 그건 이미 자기들끼리 정했기 때문이야. 내가 절대 따라오지 못하도록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이 나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 외에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양성자가속기, 대전 지역에 구축될 중이온가속기 등이 있다. 노벨상 수상자의 20% 이상이 가속기를 활용한 연구로 상을 받을 정도여서 가속기에는 ‘노벨상 제조기’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힉스 입자 발견에서 보듯 그만큼 ...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다리로 드리볼과 패스, 슈팅을 하는 진짜 ‘로봇 축구’로 발전했다. 이런 로봇들의 축구 대전 중 가장 규모가 크고 권위 있는 대회가 ‘로보컵’이다.로보컵은 1997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세계 각국에서 열리고 있다. 비슷한 대회로 ‘피라컵(FiraCup)’이 있지만 ...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간직하세요.”14 : 00 이매지너리 전시 관람점심식사를 마친 독자기자단이 향한 곳은 대전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옮겨온 이매지너리 전시장이었다. 이미 많은 사람들로 가득 차있는 이 곳에는 수학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과 전시가 기다리고 있었다. 특히 수학과 관련된 게임을 할 수 있는 TV 앞에는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드론 군집비행 제어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이를 알기 위해 대전 유성구 과학로에 위치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하 항우연)을 찾았다. 항우연에는 가로 세로 각각 17m, 높이 6m인 국내 최대 드론 전용 시험장이 있다. 이곳에 서 공현철 박사가 이끄는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목격된 별똥별은 수도권 상공에서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했어요. 이 별똥별은 대전 부근에서 빛을 내며 타기 시작했는데, 이때 속도가 초속 25~30㎞였지요. 그리고 경남 지역을 향해 떨어지더니 함양과 산청 부근에서 세 차례 폭발하고 쪼개졌답니다. 이후 잠깐 빛을 내며 초속 5㎞로 이동 후 영상에서 ...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행동을 분석해 제품에 반영하는 인간공학 분야가 있습니다. 경영과학 분야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이 독일군 잠수함 U보트를 공격할 때 어느 위치에 폭탄을 떨어뜨려야 하는지 연구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요즘 한창 뜨고 있는 데이터마이닝과 기술경영 분야가 있습니다.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