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아리"(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작가 송지나가 본 과학, 과학자과학동아 l1999년 03호
- 교수(연기자 안정훈), 천하의 영재만 인정하는 이희정 교수(연기자 이휘향), 로봇 연구 동아리 회장인 민재(연기자 이민우), 동료 채영(연기자 채림), 캠퍼스의 괴짜 정태(연기자 박정현) 등이 펼치는 일상사가 모두 KAIST에서 벌어지는 실재 생활에 기초한 것이다.과학과 오락 사이의 줄타기그러나 ... ...
- 동아·LG 국제만화페스티벌 구경오세요과학동아 l1997년 10호
- 사이트를 여행하는 '사이버 카페' ▲국내 만화ㆍ애니메이션 대학 학과와 아마추어 만화동아리의 작품이 전시되는 '만화 친구들' ▲국내외 공모전 본선진출작과 해외 초청 애니메이션을 연속 상영하는 '애니 극장' ▲최첨단 컴퓨터 애니메이션 게임이 총집합된 '사이버 게임 파크'등이 마련돼 만화의 ... ...
- 3. 한국 경제의 돌파구 벤처기업과학동아 l1997년 06호
- 꿈꾸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KAIST출신 벤처기업가와 창업동아리'KBC'(KAIST 비즈니스클럽)의 회원들을 만나면 약간 얘기가 다르다. 얼마 전까지 KAIST교육은 공부 외엔 다른 것을 전혀 생각할 수 없었다고 한다. 만약 창업을 생각하고 준비하거나 기업에서 용역을 받아 ... ...
- 5. 20대 젊음을 불태운다과학동아 l1997년 06호
- 눈총을 피해야 했다. 대학시절부터 시작한 장사는 솔솔 재미가 붙었고, 셈틀이라는 동아리 친구들이 뜻을 같이 하게 됐다."94년 4월 손사장은 아이시티 전신인 셈틀리서치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당시 손사장을 비롯해 4명의 직원들은 모두 학생이었다. 셈틀리서치는 대기업으로부터 개발 용역을 받아 ... ...
- 동성애 운명인가 선택인가과학동아 l1997년 04호
- 게이 단체이다. 레스비언은 '끼리끼리'를 만들었다. 이들은 1995년 6월 대학의 동성애 동아리인 서울대의 '마음 001', 연세대의 '컴투게더'와 함께 동성애자들의 인권운동을 펼쳐나갈 협의체를 발족시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이 밖에도 큰 족적을 남긴 동성애자들은 한둘이 아니다. 특히 지식인들이 ... ...
- 수능·서울대 수석합격 서준호과학동아 l1997년 02호
- 1등. 누구나 한번쯤 꿈꾸는 최고의 자랑이다. 그것도 전국 수석이라면 자신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도 커다란 기쁨이다. 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 태도를 내비쳤다. 기숙사 생활을 희망하는 서군은 다양한 경험을 위해 대학에 지학하면 동아리활동에도 빠지지 않을 작정이다 ... ...
- Ⅳ. 4인의 프리즘으로 본 포항공대과학동아 l1996년 11호
- 학과성적도 중간 이상은 유지하면서 동아리(다솜) 하나를 만들고 졸업할 때까지 두개의 동아리활동을 했으며, 1, 2학년 때는 총학생회에서 활동했다. 그 생활 속에서 영원히 함께 생활한 친구들, 동생들, 그리고 사랑하는 약혼녀 은실을 만났다.또한 대학공부를 하는 동안 싼 학비에 충분한 장학금과 ... ...
- 4. KAIST 해커 구속 사건이 남긴 이야기 "배우면 써보고 싶은 게 사람심리"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수 있도록 컴퓨터 윤리 교육을 강화해나가겠습니다. 다만 이번 일과 관련해 학교의 전산동아리를 범죄자 집단처럼 보지는 말아주십시오."이같은 반성의 분위기와 함께 KAIST의 학생과 교수들은 이번 일을 우리나라의 시스템 보안이 한단계 강화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시스템 ...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말하자면 국내에서는 주로 KAIST와 포항공대에 많이 있습니다. 천리안에는 한때 'COMGO'라는 동아리를 비롯해서 몇군데 있었는데 지금은 유명무실해진 상태입니다. 나우누리에는 PUG(power user group)란 곳에 가면 몇 명 만날 수 있습니다. PC-VAN이란 BBS에도 조금 있는데, 이곳은 한때 그 그룹 자체가 해킹을 ...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환경소년단'을 만들어 운영할 계획입니다.배명근저는 동아리 활동에서 '조류 탐사반'을 만들 생각입니다. 새에 대해 학생들에게 말할 '맥'을 찾았거든요. 여행을 좋아해 유럽을 많이 다녔지만 우리나라만큼 아름다운 곳은 없었습니다. 이번 탐사에서도 이를 ... ...
이전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