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최초의 생명체 간직한 분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바위 침대’를 뜻한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바다에 사는 원시 단세포인 남조류(시아노
박테리아
)가 성장할 때 신진 대사를 통해 퇴적물을 포획해 고정시키거나 탄산염의 침전 작용에 의해 암석으로 변한 것으로 퇴적 구조인 동시에 화석이기도 하다.소청도 외에 강원도 영월·태백시 부근, 경남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내장에는 대략 1000조개의
박테리아
가 살고 있다. 이들은 어떻게 인체의 면역계를 자극하지 않고 함께 살 수 있을까. ‘면역 역설’로 불리는 이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결과가 최근 나왔다. 미국 하버드의대 로리 콤스탁 교수팀은 미생물이 숙주에서 얻은 당분자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숙주와 ... ...
보약 못지않은 녹황색 채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역할로 알려진 것은 항산화(항노화)작용, 해독작용, 면역기능 증강, 호르몬 역할 조절, 항
박테리아
나 항바이러스작용 등이다.주로 녹황색, 오렌지색, 붉은색을 나타내는 색소인 카로티노이드는 대표적인 식물화합물이다. 당근에 들어있는 베타카로틴, 시금치의 루테인, 토마토의 라이코펜 등이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걸쳐 무작위로 발생하므로 진화의 효율 면에서 떨어진다. 이는 빠른 속도로 증식하는
박테리아
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복잡한 구조를 합성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번식주기가 느린 고등생물로 갈수록 진화 속도에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분열하는데 30분 걸리는 세균A와 1시간 걸리는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누구도 이런 오만한 주장을 하지 않는다. 진화를 통해 항생제를 무력화시킨 슈퍼
박테리아
가 등장하는가하면 에이즈 바이러스처럼 인류를 위협하는 신종이 어느 순간 출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화론은 이들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하고 있다.에이즈 확산을 막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가 콘돔을 ... ...
알코올 펑펑 쏟아내는
박테리아
나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산소가 없어도 포도당 등을 에너지로 이용해 알코올(에탄올)을 만들어내는
박테리아
다. 연구팀은 자이모모나스에서 모두 1998개 유전자를 찾아낸 후 이 가운데 알코올 생산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54개 유전자를 가려냄으로써 이 세균의 알코올 생산능력이 탁월한 이유를 밝혀냈다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 머그컵은 설탕이 잘 섞이지 않았을 때 자동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해 저어주기도 한다.
박테리아
나 염도가 지나치게 높을 때 소리로 경고하는 나이프 역시 눈길을 끄는 있는 연구거리 중 하나다.전자레인지에 카메라가 달려 찌개가 넘치는 일을 막아준다. 그릇이 더러워지면 그릇에 붙은 ... ...
인공 생명체 창조 임박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만드는데 한걸음 더 다가갔다.미국 록펠러대 앨버트 립차버 교수팀은 세포내 구성성분을
박테리아
크기의 인공막 속에 넣어 단백질을 생산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미국과학원회보’(PNAS)온라인판 12월 10일자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단백질을 만드는데 필요한 리보핵산과 아미노산을 함유한 ... ...
"
박테리아
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이디어는 지금의 이상엽 박사를 만든 원동력이자 뽀빠이의 시금치였답니다. 아주 작은
박테리아
에서 커다란 과학의 결실을 맺은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는 뽀빠이 박사. 우리도 시금치 먹고 노력이라는 커다란 힘을 발휘해 볼까요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 전파가 일어나는지를 이해하고자 진드기에 있는
박테리아
에 형광을 입혔다.연구팀은
박테리아
에 쓰인 형광색을 진드기와 햄스터가 발산하는 자연 형광색과 구분하느라 상당한 애를 먹었다고 한다. 에릭슨은 사진을 처음 봤을 때 이 일이 매우 도전적인 과제임을 깨달았다고 한다. 진드기의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