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조종사
비행기
비행가
d라이브러리
"
비행사
"(으)로 총 5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케네디 우주센터/로켓발사장소로켓과 그것에 실을 우주선과 탐사선을 만들고 우주
비행사
를 훈련하고 나면, 이젠 이 모든 것을 종합해 로켓을 발사할 장소가 필요하다. 그래서 1962년 케네디(Kennedy)우주센터가 만들어졌다. 아폴로 계획을 강력히 추진해 인간의 달나라 착륙을 성공시켜 미국에게 ... ...
PART2 다가온 우주레저 시대 첫 우주관광여행은 1999년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프랑스를 비롯한 ESA도 마찬가지다. 일본은 현재 미국의 우주왕복선에 탑승시킬 일본인
비행사
를 선발해, 곧 훈련에 들어갈 예정이며, 90년대 후반에 완성될 미국의 우주정거장에도 실험동 하나를 올려보내기로 계약을 했다. 이 실험동에서 일할 우주과학자와 기술자를 실어나르고 물자를 수송하기 ... ...
제2세대 우주왕복선과 극초음속 여객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우주발사장을 방문한 미국 기자들의 소련 우주왕복선 계획에 대한 질문에 과거 소련 우주
비행사
였던 '게르만 티토프'는 "아직 공개할 정도로 준비는 안되어 있지만, 당신네들(미국)것과 똑 같이 생겼다"고 하여 대략 그 모양이 미국의 그것과 비슷하다는 것이 알려졌다.몇달뒤인 1988년 10월29일 ... ...
PARTⅠ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하지만 4차원세계에서는 이런 일이 모두 가능하다. 적절한 예일지도 모르지만 일부
비행사
들은 버뮤다해역에는 4차원세계로 통하는 문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곳에서 갑자기 사라져버린 비행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접근을 꺼리고 있을 정도다.연민의 눈으로4차원공간은 어떤 구조를 갖고 ... ...
밝은미래 예상케하는 한국의 항공산업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미래는 무척 밝다는 것이 항공전문가들의 견해다.우리나라 항공의 역사는 1922년 최초의
비행사
였던 안창남이 12월10일 '금강호'라는 자신의 애기로 당시 경성(서울) 상공을 비행한 것으로 시작된다.최초의 항공기정기운항은 1929년 일본인항공사가 '도쿄~후쿠오카'간노선의 지선으로 대구~경성 ... ...
청소년의 우주로 향한 꿈을 키워주는 우주캠프「마샬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3~5cm 길이 50~1백cm의 것으로 30~1백m 정도의 높이로 올라가 패러슈트로 내려온다.제2일=우주
비행사
가 스페이스셔틀 속에서 어떤 일을 하며 또 어떻게 생활하고 식사와 수면과 화장실 사용법은 어떤 것인가를 배운다. 그리고 우주식품을 시식한다.제3일=캠프의 하일라이트로 무중력체험을 하는 날이다.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3번의 우주비행을 하였다. 그동안 많은 인공위성을 지구궤도로 운반했으며 수십명의 우주
비행사
및 기술자를 양성하였다.지난 해 9월 29일에 재개된 미국의 우주왕복선은 우주정거장의 건설에 톡톡히 한몫 할 것이다. 특히 1993년 착공하여 1995년에 완공할 예정인 길이 1백16m, 폭 90.4m 의 본격적인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우주스테이션에서의 채소재배는 이미 시험되어왔다. 사방 1m정도의 채마밭이 있고 우주
비행사
들은 각각 좋아하는 채소를 재배하여 식탁에 차린다. 또 채소 밖에도 밀 재배에도 성공했고 거기다 쌀이나 옥수수 재배도 계획하고 있다한다."물론 수확은 얼마안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라다의 맛은 볼 수 ... ...
호먼궤도를 이용하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로마넨코'가 세운 1987년 12월30일까지 3백26일. 때문에 무중력상태 속에서 우주
비행사
의 적응 훈련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좌절을 딛고 얻은 성과들지난 7월 12일과 13일 발사한 포보스 1호와 2호는 지금까지 미국과 소련이 화성에 발사한 13번째와 14번째 화성 무인 탐색기가 된다.1962년 11월 1일 ... ...
진공과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과학사의 한 단면을 꿰뚫고 있다.우리는 사진이나 필름을 통해 달에서 작업하는 우주
비행사
들을 보고 많은 경이로움을 느끼곤 했다. 커다랗게 부푼 우주복을 입고 산소통을 들러맨 채 성큼성큼 뛰어가는 우주인들을 통해 우리는 비로소 '무중력(無重力)'이나 '진공' 따위의 개념들을 배우게 된다. 또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