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실"(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다양한 물질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화학자’ 하면 보통 실험 도구가 가득한 실험실에서 흰 가운을 입고 화학 물질을 섞고 있는 모습이 떠오르지요. 그런데 요즘은 컴퓨터 앞에 앉은 모습을 떠올려도 괜찮을 거예요. 1998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존 포플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화학과 교수와 ... ...
- Part 2. 무엇이든 찾아낸다, 탐지견 꼼짝말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수한 특수목적견들을 교배해 새끼를 낳는 것에 그쳤어요. 반면 지금은 우수한 개를 실험실에서 복제하는 단계에 이르렀지요. 실제로 지난 2008년부터 복제기술을 통해 240마리 이상의 특수목적견이 탄생했답니다. 이 개들은 부모의 우수한 형질을 그대로 물려받은 덕에 80% 이상이 특수목적견 시험에 ... ...
- [과학뉴스] 체외 인간 난자 배양 세계 첫 성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계 최초로 인간 난자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쥐의 난자를 실험실에서 성숙시킨 사례는 있었지만, 인간의 난자는 처음이다.난자는 여성이 태어날 때 미숙한 상태로 존재하다가 사춘기가 지나며 성숙한다. 이 과정에 관여하는 호르몬, 단백질 등 요소들이 다양해, 지금까지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중인 그래핀이 안정적인 물질이라면, 카바인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물질인데다 아직 실험실에서 안정적으로 만들지 못하는 수준이다. 오직 운석과 우주의 성간 먼지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희귀한 물질이기도 하다. 우주에 존재한다는 점과 희소성 면에서는 비브라늄과 흡사하다. 카바인은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가령 DNA 합성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인 메탄을 생산하는 박테리아를 만들 수도 있고, 실험실에서 합성하기 어려운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박테리아를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2006년 제이 키슬링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효모에 식물 유전자 세 개를 넣어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장비가 설치돼 있고,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실도 갖추고 있다. 실험실에 들어서자 네트워크 장비 서버의 열을 식히는 팬 돌아가는 소리에 대화가 어려울 만큼 시끄러웠다. 곽 랩장은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본사와 연결된 양자암호통신용 서버를 가리켰다. 광자 신호를 생성하는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disk)’에 마이크로 필터를 붙여 크기에 따라 세포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랩온어디스크는 실험실을 손바닥만한 디스크에 옮겨 놨다는 뜻이다. 랩온어디스크에 혈액을 넣은 뒤, 구동장치에 넣고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크기가 작은 혈구세포가 필터 아래쪽으로 빠져나가고 CTC만 남는다.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수한 특수목적견들을 교배해 새끼를 낳는 것에 그쳤어요. 반면 지금은 우수한 개를 실험실에서 복제하는 단계에 이르렀지요. 실제로 지난 2008년부터 복제기술을 통해 240마리 이상의 특수목적견이 탄생했답니다. 이 개들은 부모의 우수한 형질을 그대로 물려받은 덕에 80% 이상이 특수목적견 시험에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제안했습니다. ‘오가노이드(organoid)’라는 기술을 활용해 그녀의 장 상피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운 뒤 신약의 효과를 미리 테스트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이후 그녀의 삶을 바꾸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습니다. 2009년 장 상피 오가노이드 첫 구현오가노이드는 실험용으로 배양하는 초소형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남극의 빙하를 관찰하고 있지요. 아이스브리지 임무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날아다니는 실험실’이라고 불려요. 빙하의 깊이와 높이, 두께, 표면 온도 등 여러 가지 데이터를 관측하기 위해 어마어마한 장비들을 싣고 다니기 때문이지요. 1초에 1만 번의 진동을 만들어내는 초정밀 레이저를 쏴서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