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중에 있던 것이 될 것이다.앞 실험과 마찬가지로 레일리는 7번의 측정 끝에 1만분의 1의
오차
범위 내에서 결과를 얻었다. 그런데 공기에서 질소를 뽑아낸 이전 실험에서 얻은 값에 비해 질소가 0.1%, 즉 2.3mg만큼 무거운 것이 아닌가. 그는 몇 차례 더 심혈을 기울여 주의 깊게 실험했지만 결과는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않았다. 허블이 처음에 얻은 허블상수 500km/s/Mpc은 그가 거리를 잘못 추정해서 얻은
오차
가 매우 큰 값이었다. 물론 이 때문에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 사이에 존재하는 비례 관계가 무너진 것은 아니었다. 이후 허블상수를 좀 더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됐다.20세기 후반에는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미사일인 에이태킴스 블록 1A는 에이태킴스 블록 1에 비해 사정거리가 300km로 늘었고
오차
도 줄었다. 현재 관통력이 높은 탄두와 이동 표적에 대한 공격력을 높인 미사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정거리가 500km인 차세대 미사일도 연구중이다.해병대도 미국의 ‘랜드 워리어’와 ‘오브젝티브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나마 1842년에야 인정됐다. 스트루베는 1836년 관측해 1837년에 발표했으나 1839년
오차
가 큰 값을 다시 발표하는 실수를 범했다. 베셀은 1838년 가을에 시차를 발표했다. 그래서 연주시차 발견은 약 300년만에 베셀에 이르러 막을 내렸다.연주시차 발견을 통해 지구 공전의 증명뿐만 아니라 마침내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것이며 콤퍼레이터의 원리라고도 한다 측정기 제작에서 피할 수 없는 결함 이 측정
오차
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하는 데 적용한다 아베의 반전프리즘 전반사면 둘과 지붕형 반사면 하나가 광선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상의 상하좌우를 완전히 반전시키는 프리즘주기율표에서 볼 수 있는 원자가 ... ...
펜타쿼크, 유령입자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쿼크 5개로 이뤄진 소립자 ‘펜타쿼크’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미국 토마스제퍼슨연구소는 실험 결과 2002년 알려진 펜타쿼크의 발견이 실제로는 착 ... 발견했다는 증거를 얻지 못했다. 이탈리아 연구팀은 일본팀의 첫 발견을 실험
오차
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했다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받고 있는 생명공학연구까지 ‘접수’해버렸다.“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한 치의
오차
도 없이 보여줄 수 있습니다.” 김 교수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점 대신 면으로 구조 진단기존에도 이런 방법은 있었다. 지난 199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낮아진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론 실험에서 약간의
오차
가 발견됐는데, 보일은 이
오차
가 수은에 포함돼 있던 공기와 유리관 안에 남아있던 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하지만 보일은 자신의 실험 결과를 일반적인 법칙으로 확장하는데 조심스러웠다. 그는 압력이 아주 세지면 공기가 자신이 ... ...
태양보다 150배 이상 무거운 별은 없어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관측 결과 태양 질량의 130배를 넘는 별은 없었다”고 말했다.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오차
를 인정하더라도 태양 질량의 150배를 넘는 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피거 박사는 “새로 태어난 거대한 별은 강력한 복사로 주위의 가스를 날려버려 이 한계 이상 질량이 더해지지 않게 할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것이 중요하다.이 회사가 만든 나노 장비는 그 틈을 수십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의
오차
로 정확하게 측정한다. 박 사장은 “우리 장비를 이용하면 외국 장비를 쓰는 것보다 불량률이 20%나 줄어든다”며 “한국이 TFT-LCD 1위국이 된 것도 우리 장비 덕분”이라고 자신했다.“한국 시장은 물론 지난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