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PS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지피에스
지피에쓰
내비
내비개이션
내비게이션
d라이브러리
"
위치확인시스템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Bugbear’(버그베어)라는 신종 e메일 바이러스가 빠르게 번지고 있다. PC가 이 e메일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해커들이 원격으로 각종 암호나 신용카드와 같은 중요 정보를 빼낼 수 있어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연구소를 관리·경영하는 독일의 법인기관 정식 명칭은 막스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유전정보가 염기서열에 담겨있다는 고정관념이 바뀌고 있다. 유전자가 발현되는데는 염기서열과 함께 메틸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DNA에서 메틸화 현상을 밝혀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새로운 학문 후성학을 만나보자.포스트게놈시대를 맞이해 게놈프로젝트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감정을 표현하는 기호인 이모티콘을 누가 최초로 사용했을까. IBM의 스콧 팔만은 자신이 1982년 인터넷 채팅 중에 스마일을 나타내는 :)을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그후 12살짜리 소녀들과 회사 법률가들이 자신의 e메일에 사용했다. 이모티콘의 원조는 아직 논란중이다. 암컷의 2개 X염색체 ... ...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학질모기와 이에 기생하면서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의 게놈 청사진이 ‘사이언스’ 10월 4일자에 발표됐다. 매년 3백만여명이 모기로 인해 사망하는데, 이번 게놈 발표는 이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과 살충제 개발을 이끌 전망이다. 한 가닥의 중심 도체(導體)와 이것을 둘러싼 절연된 외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지난 1991년 1월 코소보의 라차크 마을에서 알바니아인 40명 이상이 살해된 사건은 세르비아 경찰에 의한 대학살로 전해져 왔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희생자들이 처형된 흔적이 없다고 말하며 이런 진술을 부인했다. 대신 누군가 죽은 반란군의 군복을 벗기고 시민의 옷으로 갈아 입힌 후 불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영국의 기구비행사 두명이 고도 40km까지 올라가 새로운 유인기구비행 고도의 신기록 수립에 도전한다. 이들은 이상적인 발사가능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해 72시간 대기에 들어갔다. 9월말 전에는 기구가 발사될 것이고, 24km 이상에서 부는 바람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자동화된 금속형 주조법 또는 ... ...
뇌세포 하나도 수를 셀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단 하나의 뇌세포도 수를 인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두개의 점을 볼 때 두개라는 사실을 인식하는데는 오직 하나의 신경세포만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의 얼 밀러 박사팀은 이같은 내용을 원숭이의 뇌세포 연구를 통해 밝혀 ‘사이언스’ 9월 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지구 자원이 대체되는 속도는 현재 인류가 지구 자원을 고갈시키고 있는 속도를 따라올 수 없다고 UN은 밝혔다. 세계 인구 중 가장 부유한 15%는 지구 자원 전체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후진국 성장의 기준이 되는 자원이 빨리 고갈되는데 한몫하고 있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 ... ...
3. 물과 생명체 두마리 토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화성에서 생명체를 발견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생명체와 그 원천인 물을 찾기 위해 두더지 로봇에서 비행기까지 동원될 예정이다. 인류가 화성에 가기 위한 각종 예비 탐사과정을 알아보자. 과연 우리는 화성에 대해 얼마나 많은 것을 알고 있는가. 19세기 말에는 망원경을 통해 ... ...
군사용으로 출발, 의료까지 적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칠흑같이 어두운 밤길에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갑자기 행인을 발견해 놀란 적은 없는가. 대낮에는 훤하게 보이지만, 빛이 사라지면 우리 눈은 맥을 못춘다. 우리 눈은 가시광선이라는 빛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밤에도 또다른 종류의 빛이 있다. 바로 사람이 내는 적외선이다. 수백℃ 이하인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