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일"(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엄마를 두 번 울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병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등 질병에 평생 시달리게 된다. 예방할 방법은 현재로선 없다. 윤리적 논란이 뜨겁지만 유일한 희망은, 엄마의 미토콘드리아를 건강한 다른 여성의 것으로 교체하는 방법이었다.하지만 최근에는 이렇게 태어난 ‘세 부모 아이’조차도 유전병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엄마가 함께 쫓겨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현재까지 이 유전병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미토콘드리아를 교체하는 것이다. 유전병 위험이 높은 여성 A의 난자에서 핵을 빼낸 뒤,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기증자 B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이 자리에 A의 핵을 이식한다. 이렇게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공리였다. 쉽게 말해 ‘주어진 한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고, 이 직선에 평행한 직선이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가정이었다.“책을 보며 ‘이 가정이 꼭 필요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왜 여태껏 하지 못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게 계속 공부하다 보니 제가 모르던 세계가 보였고, 여기에는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필수적세 가지 다른 길로 갈라섰지만 복잡한 다세포 생물로 진화한 것은 진핵생물이 유일하다. 우연한 결과라고 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 진핵생물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꼽히는 세포핵과 유사한 구조, 유전자 재조합, 세포소기관, 세포 신호, 커다란 크기, 내공생 등은 일부 원핵생물에서도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요가 적지는 않나요?권영상 전세계에서 신도시를 이렇게 많이 만든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그만큼 설계에 대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죠. 때문에 해외의 수요가 많은 편입니다. 중국이나 베트남과 같이 한창 도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나라들은 도시를 설계할 기술은 없지만 신도시가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십 년에 하나 정도다. 1987년 대마젤란은 하에서 초신성 폭발을 관측한 게 현재로선유일하다. 중력파 관측소는 상대적으로 관측범위가 길다. 중성자별 쌍성 병합은 중력파 신호가 강해, 6억4200만 광년 거리에서 도 관측할 수 있다. 1년에 40개도 관측 가능하다.2020년대가 되면 중력파 관측소들이 속속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탈리아 파도바대 일반심리학과 알레산드로 앙그릴리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거의 유일하다. 앙그릴리 교수는 자녀살해범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축)’에 문제가 발견된다는 연구 결과를 2013년 국제학술지 ‘정신의학연구저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 10.1016/j ...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하자. 다른 능력치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즉 힘만이 전투력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다. 그러면 최종 승자는 누가 될까? 개인 전투력이 강한 블랙 팬서가 이길지, 병력이 많은 캡틴 아메리카가 이길지 계산해보자.전투력 1이 1분당 1명의 사상자를 낼 수 있는 수치라 생각하면 블랙 팬서는 ...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의류는 아주 중요한 생물이랍니다. 다른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겨울 동안 순록이 먹는 유일한 먹이가 바로 지의류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툰드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지의류를 ‘순록이끼’라고 불러요.지의류는 빵과 샐러드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해요. 특히 전쟁 중에는 중요한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오래 전부터 있었다. 이를 반영해 2011년 출범한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선진국에 가까운 인력구조를 갖춘 곳이다. 현재 26개 연구단 중 본원 및 캠퍼스연구단에 속한 19개 연구단의 인력분포를 분석해 보면, 박사후연구원이 전체 연구원의 34% 수준이다. 연구지원인력도 10%가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