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밀려 도태됐다고 여겨졌던 네안데르탈인이 2%의 DNA로 우리 몸속에 남아있다는 점이
유전
학적으로 밝혀졌다. 현생인류와 교배했다는 반박할 수 없는 증거다. 사실 현생인류가 극한의 빙하기를 견딜 수 있었던 데는 혹한의 환경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DNA 덕분이었다. 저자는 DNA의 역사를 통해 인간이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머리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한 거북 개미 89종의
유전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전
적으로 가장 오래된 군인 거북 개미의 머리 형태는 사각형이었고, 지금까지 11종류의 형태가 출현했다가 현재는 4종류만 남게 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진화 과정에서 특이했던 건 거북 개미의 머리가 커졌다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탄생시킨 미토콘드리아 이브가 칼라하리 지역에서 발생했음을 확인한 것”이라며 “
유전
적 데이터와 고기후 데이터를 결합한 통계적 접근법이 인류의 기원을 연구하는 데 효과적임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슈퍼컴퓨터로 기후변화 모델링 기후물리연구단은 향후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집중해 발생했다는 점에서 다른 감염 경로를 찾아야 했다. 우리 역학조사팀은 장티푸스
유전
자형 검사와 상수도 오염 검사, 환자의 이동경로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감염 경로를 조사했다. 그 결과 수학여행지에서 제공된 양배추가 감염원일 가능성을 찾아냈다. 당시의 날씨를 확인해보니 ... ...
[가상인터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이번에도 박쥐 탓?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찾기 위해 다양한 동물들이 지니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
체 서열을 비교하는 연구를 하고, 그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어. 1월 22일엔 중국 베이징대학교 연구팀이 중간 숙주가 ‘뱀’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한편 29일엔 중국의학과학원 병원생물학연구소에서 ... ...
[SF에 묻는다] 그녀 vs. 블레이드 러너 2049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사랑이냐고 따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에게도 같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사람도
유전
적으로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돼 있는 셈이니까요. 사랑한다는 인공지능의 말이 단순히 알고리즘에서 나온 것이라고 해도 듣는 입장에서는 거부감만 떨쳐 버린다면 차이를 알아채기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세션을 듣더라”라고 말했다.다른 실험실의 장비를 써야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유전
체 항상성 연구는 온도와 충격에 취약한 세포를 주로 다루기 때문에 보관 조건이 특히나 까다롭다. 다른 실험실에서 실험해야 할 때는 연구원이 직접 37도로 유지되는 보온박스에 세포를 넣어 가져간다. 간혹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특성을 기준으로 나열해 주기율표를 만들었고, 생물학자들은 수많은 생물을 형태적,
유전
적으로 유사한 것끼리 연결해 계통수를 만들었다. 어떤 물리학자는 여기에 한술 더 떴다. 원소든 생물이든 우리가 이 세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 단 17가지 입자들로 구성돼 있다고 정리했다. ... ...
[과학뉴스] 세포 로봇의 등장! ‘제노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안녕! 나 과학마녀 일리는 요즘 새로운 로봇을 만들기 위해 매일 머리를 싸매고 있어. 그런데 ‘아프리카발톱개구리’라는 친구가 획기적인 걸 만들고 싶으면 자기 ... 논란도 남아있어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답니다. *용어정리
유전
자 발현 : DNA
유전
정보로 형질이 표현되는 과정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14일이 지나 바이러스가 배출된 뒤에는 바이러스
유전
자가 체내에 남지 않아
유전
자 검출 검사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현재 질병관리본부는 잠복기가 지난 뒤에도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항체 검출 검사법을 개발하고 있다. 사람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