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공계 잡터뷰] 약국 근무 약사의 하루, 상담부터 공부까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나와 포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ATC는 대형 병원 약제부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치로 전문의약품 등 환자가 처방받은 약을 약사 대신 배합하고 포장하는 역할을 한다. 약사의 업무를 줄이는 것은 물론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약사의 배합 실수를 없앨 수 있어 최근에는 소형 약국에서도 널리 ... ...
- [과학뉴스] 원전사고 대응 방재 로봇 드림팀 떴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때문에 잔해가 널려있는 곳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조작자가 사람 팔 모양의 장치를 움직이면 원격으로 로봇 팔이 따라서 똑같이 움직이는 방식이라 파이프 조립이나 커넥터 연결, 밸브 조작 같은 섬세한 작업도 할 수 있다.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016년부터 6차례 훈련에 로봇을 투입해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파짓! 파짓!’ 정전기로 번개를 만들어 보자!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플라스틱 컵 세 개를 활용해 간단한 축전기를 만들었습니다. 축전기는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인데, 여기에 풍선에 형성된 전자를 모았죠.전자가 충분히 모인 것 같으니, 이제 방전시키면 됩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축전기의 두 전극을 가까이 대 봅시다. 그러면 ‘파짓!’ 소리와 함께 전극 사이를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미국 렐리는 소젖에서 우유를 짜는 유축기에 센서를 부착해 유방염에 걸렸는지 확인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젖을 짜기 전에 질병에 걸렸는지 예측하고 미리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국내 기업 유라이크코리아는 소의 질병을 감지할 수 있는 알약 형태의 캡슐을 개발했다. 소가 삼키면 이 바이오 ...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윙 태그)를 부착한다. 구조센터에서는 완치돼 야생으로 돌아가는 동물에게 인식표와 추적장치를 부착한다.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방생 이후의 생존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가끔은 같은 인식표를 두 번 마주하게 된다. 2019년에는 ‘DJ’라고 적힌 몽골 연구진들의 인식표를 부착한 독수리가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표현한답니다.두 기호로 통신하는 방법은 현대에 더 중요한 기술이 되었어요. 전기 장치나 컴퓨터는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누르지 않거나’처럼 단순한 두 신호를 구별하는 일만 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0과 1의 이진수를 이용해 컴퓨터가 일하도록 ...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가능한 외부의 영향을 덜 받았을 때 한시라도 빨리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분석 장치들을 호주로 직접 들고 갔다. 후지모토 마사키 ISAS 부소장은 “밀봉된 캡슐이라도 기체는 쉽게 손실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캡슐이 호주에 도착한 다음 날 아침 기체 분석이 이뤄졌고, 결과는 일주일 뒤인 15일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효과를 위해 사용되던 강유전체를 마찰대전 재료로 활용하는 새로운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만들었다.강유전체는 외부의 전기장이 없어도 양극성과 음극성이 분리된 상태(분극)를 띠는 소재로, 전기장을 이용해 분극의 방향과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교수팀은 강유전체에 강한 양극성 혹은 ...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놀이북 23쪽과 함께 보세요! “아니, 당신은 손만 대면 무엇이든 망가뜨린다는 전설의 똥손 기자?” 그런데 박 기자, 어쩐지 자신만만합니다. 손에 든 상자를 슬쩍 ... 다른 구조물과 부딪혀도 충격을 80%나 흡수해주죠. 같은 이유로 비행기를 만들 때도 벌집 모양의 장치를 이용한답니다 ... ...
- [과학뉴스] 한국 인공태양, 1억℃에서 20초 빛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못했어요. KSTAR는 초전도 자석의 자기장으로 플라스마를 진공 공간에 가두는 ‘토카막’ 장치를 이용해요. 이번에 고온의 플라스마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인공태양의 자기장 장벽인 ‘내부수송장벽’을 강화해 10초의 장벽을 넘었지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앞으로 KSTAR가 2025년까지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