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가능한 외부의 영향을 덜 받았을 때 한시라도 빨리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분석 장치들을 호주로 직접 들고 갔다. 후지모토 마사키 ISAS 부소장은 “밀봉된 캡슐이라도 기체는 쉽게 손실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캡슐이 호주에 도착한 다음 날 아침 기체 분석이 이뤄졌고, 결과는 일주일 뒤인 15일에 ...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윙 태그)를 부착한다. 구조센터에서는 완치돼 야생으로 돌아가는 동물에게 인식표와 추적장치를 부착한다.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방생 이후의 생존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가끔은 같은 인식표를 두 번 마주하게 된다. 2019년에는 ‘DJ’라고 적힌 몽골 연구진들의 인식표를 부착한 독수리가 ...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노아 제퍼리스 미국 하버드대 공학 및 응용과학과 연구원은 “로보비는 외부 전원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해 비행한 물체 중에서 가장 가볍다”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86-019-1322-0초소형 비행체는 마이크로보트나 나노자동차에 비하면 크기가 거대하다. 박훈철 건국대 ... ...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파워트레인 등의 장치를 결합해 사용합니다. 이처럼 모터, 그리고 모터에 결합한 여러 장치들을 포함해 원하는 움직임을 구현하는 전체 시스템을 액추에이터라고 합니다.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운동형태를 바꿔라! 찬스 님은 직류 모터에 리드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 리미트 스위치 등을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표현한답니다.두 기호로 통신하는 방법은 현대에 더 중요한 기술이 되었어요. 전기 장치나 컴퓨터는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누르지 않거나’처럼 단순한 두 신호를 구별하는 일만 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0과 1의 이진수를 이용해 컴퓨터가 일하도록 ... ...
- [과학뉴스] 원전사고 대응 방재 로봇 드림팀 떴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때문에 잔해가 널려있는 곳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조작자가 사람 팔 모양의 장치를 움직이면 원격으로 로봇 팔이 따라서 똑같이 움직이는 방식이라 파이프 조립이나 커넥터 연결, 밸브 조작 같은 섬세한 작업도 할 수 있다.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016년부터 6차례 훈련에 로봇을 투입해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미국 렐리는 소젖에서 우유를 짜는 유축기에 센서를 부착해 유방염에 걸렸는지 확인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젖을 짜기 전에 질병에 걸렸는지 예측하고 미리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국내 기업 유라이크코리아는 소의 질병을 감지할 수 있는 알약 형태의 캡슐을 개발했다. 소가 삼키면 이 바이오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스마트 장치 사이에 원활하게 정보가 교환되는 기준으로 1km2당 장치 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연결 밀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장비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공기 지연율은 스마트폰이나 자율주행차, 드론 등의 단말기에서 기지국까지 전송되는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을 말한다. ...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놀이북 23쪽과 함께 보세요! “아니, 당신은 손만 대면 무엇이든 망가뜨린다는 전설의 똥손 기자?” 그런데 박 기자, 어쩐지 자신만만합니다. 손에 든 상자를 슬쩍 ... 다른 구조물과 부딪혀도 충격을 80%나 흡수해주죠. 같은 이유로 비행기를 만들 때도 벌집 모양의 장치를 이용한답니다 ... ...
- [특집] 후비적~, 귀지가 내 스트레스를 알려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측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도 적었어요. 머리카락으로는 31시간 57분이 걸렸지만, 연구팀의 장치를 이용했던 오른쪽 귀지로는 7시간 37분만에 측정했답니다.이번 연구를 이끈 안드레스 에란-비베스 박사는 “코르티솔 수치를 진단하는 데 최초로 귀지를 쓴 연구”라며 “관련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