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장의 동물] 세상에 유니콘은 없지만 요정 고양이는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아직 많이 밝혀지지 않았다. 분명한 사실은 주요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현재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 지금 지키지 않으면 ‘요정 고양이’는 유니콘처럼 이야기 속에서만 등장하는 동물이 될 거란 뜻이다 ... ...
[한승전의 '초재료'] 저항 0, 에너지 손실도 0 극강의 효율 초전도 금속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있다. 재료공학자들의 궁극적 목표는 공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저렴한 액체 질소(끓는
점
77K(영하 196℃))로도 초전도 상태가 될 수 있는 고온 초전도 재료를 찾는 것이다. 온도 한계를 1K이라도 높이려는 노력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한승전 1990년 부산대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큰 뇌를 가지고 있는 동물에게서 발현되는 능력이라 기대하고는 한다. 하지만 황색망사
점
균이 미로를 찾고 최단 거리의 길을 가로지르며 카페인에 독성이 없다는 것을 학습하는 능력을 지능이 아니면 뭐라고 불러야 한다는 말인가? 이것이야말로 새로운 상황에서 합리적인 적응 방법을 찾는 모습 ... ...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부 CTO는 보안, 핀테크 등 신뢰와 안정성이 중요한 회사와 스타트업에서도 일했다는
점
에서 해피문데이에 딱 맞다는 생각이 들어 함께하자고 했어요. 부 CTO에게 감사하는 부분은 언제나 ‘우리의 목표와 가치’를 최우선순위에 놓는다는 거예요. ‘나’보다 ‘우리’를 앞에 두는 건 결코 쉽지 ... ...
[함풀문] 문제 MVP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수학적 사고를 요하는 문제를 뽑아 함풀문 문제 MVP로 선정하고, 폴리매스 포인트 300
점
을 드립니다. 여러분도 그 주인공이 되고 싶다면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 문제를 올려 주세요! 무한주사위 http://www.polymath.co.kr/contents/view/37361?page=1 파스칼의 삼각형 http://www.polymath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해결된 문제도 새로운 풀이가 있다면 댓글 작성 후 정답 확인 요청을 한다. 수직선 위의
점
http://www.polymath.co.kr/contents/view/37852 부분집합의 분포 http://www.polymath.co.kr/contents/view/3785 ... ...
[지구사랑탐사대 X SK하이닉스] 내가 만든 데이터가 생물을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필요 없는 변수는 모두 제거했습니다. 이때 어려움도 있었어요. 데이터가 2020년을 기
점
으로 관찰 장소에 대한 선택지가 변경되어 데이터 간 불일치가 발생했거든요. 2020년 이후의 데이터는 사용하면 안된다는 측과, 해당 데이터를 버릴 수는 없으니 적절히 합쳐야 한다는 측의 입장이 달라 팀원들 ...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힘든 논문을 낸다는 것은 이 협력의 네트워크에 속하기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런
점
에서 시작부터 실패를 선택하는 길이다. 아인슈타인이 그런 선택을 했다면 당연히 오늘날 우리는 그가 누군지 모를 것이다. 의혹 3 아인슈타인이 원자폭탄을 만들었다? E=mc²으로 아인슈타인은 원자폭탄의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만달로리안’ 처음 등장하는 만달로어 행성은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금속으로, 여러 행성의 약탈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현실에서도 다른 행성의 자원을 선
점
하려는 나라 간 경쟁이 뜨겁습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는 약 200만 개의 소행성이 존재하는데요. 이중 10%는 금속이 많은 M형 소행성입니다. 그중에서도 ‘프시케16’은 ‘보물 소행성’이라고 불리죠. 프시케1 ... ...
[러셀 탐구생활] 제 4장 수학을 향유하는 인생 친구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의심스럽습니다. 정말로 ε = 0이라면 두
점
은 살짝 떨어져 있기는커녕 아예 동일한
점
일 뿐더러, 기울기 식의 분모와 분자가 모두 0이 되는 셈이니 수학적으로 말이 안 됩니다. 이에 난처함을 느낀 수학자들은 ε을 ‘0은 아니지만 0에 무한히 가까운 값’이라는 의미에서 ‘무한소’라고 불렀습니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