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가
증대
번식
확장
증진
증가액
d라이브러리
"
증식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치료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나노입자를 이용한 항암제 전달시스템은 암세포가 자기
증식
을 할 때 과다하게 생성되는 혈관세포의 간격이 다른 일반 세포들에 비해 크다는 점에 착안했다. 일반적인 세포 사이의 간격은 1백nm인데, 암세포 주변의 혈관세포는 이보다 더 넓다. 따라서 항암제 전달시스템의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해하는데서 출발한다. 생물체가 갖는 자율성과 적응, 학습, 진화, 자기복제와 자기
증식
등의 특징을 모방한 뒤, 이를 ‘바닥으로부터 통합’(bottom-up)해 인공적인 매체 위에 생명체를 ‘창조’하려는 노력이다. 최근의 연구는 매체에 따라 컴퓨터 상에서 인공생명을 구현하려는 소프트웨어 분야와 ... ...
왜 화석을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어떤 사람은 화석을 아주 오래된 희귀한 골동품의 한 부류로 생각해 화석을 수집해 재산
증식
을 꾀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 생활과는 상관이 없는 전혀 다른 세계의 일로 치부 해버리는 듯하다.최근 전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영화‘쥬라기 공원’이나‘잃어버린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효소다. 정상적인 세포의 경우 타이로신은 세포 분열이 필요한 경우에만 합성돼 세포의
증식
을 촉진한다. 하지만 백혈병 환자는 C-ABL이 끊임없이 타이로신을 활성화시켜 세포를 무한정으로 분열시킨다. 바로 백혈병이다.스위스의 노바티스사는 먼저 C-ABL 효소의 3차원 구조를 파악했다. 그런 뒤 이 ... ...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런데 간단한 단세포 생명체인 대장균은 20분만에 한번씩 자신을 복제해 두배로
증식
한다. 박테리아야말로 매우 뛰어난 폰 노이만 기계인 셈이다. 도대체 박테리아는 어떻게 이런 비법을 터득한 것일까.이런 질문에 답하자면 이야기는 궁극적으로 우주의 시작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우주는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3개의 치료제를 동시 복용하는 치료법(일명 칵케일 처방)을 받은 환자에게는 바이러스
증식
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고 알려져 있다.이 결과, 미국에서는 1998년부터 에이즈로 인한 사망자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프리카와 동남아 국가 인구의 상당수(약 1-2%)가 감염자이며 그 수도 계속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조건을 찾는 것도 까다롭다”라고 말한다.이에 비해 배아줄기세포는 체외에서 무한대로
증식
시킬 수 있고, 많은 종류의 세포로 보다 쉽게 배양할 수 있다. 많은 생명공학자들이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지난 1월 15일 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 ... ...
배아줄기세포로 뇌신경세포 분화에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키워 만든 배반포에서 세포덩어리를 분리해 체외에서 배양한 뒤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
증식
시켜 파킨슨씨병에 걸린 쥐의 뇌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파킨슨씨병은 뇌에서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실험 결과 3주 뒤 쥐의 뇌에 이식한 ... ...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무균처리 선구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들었다.여기에서 힌트를 얻은 리스터는 수술 후에 생긴 상처 부위에 세균의 침입과
증식
을 억제하기 위해 상처 부위를 석탄산에 적신 붕대로 감으면 될 것이라는 주장을 1867년에 발표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그때까지 환자를 돌봐 오던 의사들의 방식이 잘못됐다는 점을 인정해야만 하는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있음이 발견됐다. 이들의 기능을 정상으로 돌려놓을 수 있다면 암세포의 무분별한
증식
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은 CDK 억제제들이 항암제로서 개발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필자의 연구실을 비롯한 몇몇 연구실에서 효모를 이용해 세포주기의 순차적 조절기전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