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이
간격
여가
틈새
거리
겨를
짬
d라이브러리
"
틈
"(으)로 총 1,0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압력에 눌리는 약한 막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표면이 손상되기 쉽고, 두 막 사이의
틈
때문에 화면이 선명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어요. 또 화면을 크게 만들기 힘들지요. 하지만 가격이 저렴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답니다.정전용량 방식사람의 몸에 전기가 흐른다는 점을 이용한 기술이에요.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2005년 미국 뉴올리언스의 미시시피강은 허리케인이 다가오자 사람들이 미처 대피할
틈
도 주지 않고 넘치고 말았다. 모두 둑과 제방이 충분히 갖춰진 곳의 하류였다.허 교수는 이런 현상을 가리켜 “물은 억지로 막으면 다른 곳에서 터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을 관리하기 위해 실시하는 하천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준 물은 오히려 식물에게 해가 될 수 있다. 토양에 공급된 물은 토양의 공극(입자 사이의
틈
)을 막아버려서 뿌리의 호흡을 막는다. 뿌리에서의 호흡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광합성에도 막대한 지장을 미친다. 따라서 정오 무렵 식물에게 준 물은 역효과를 준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물에 떨어진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가라앉게 된다. 이에 비해 알루미늄 풍선은 금속박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금속 사이의
틈
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고무풍선에 비해 오랜 시간동안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다. Q2. [유창성] 영화 ‘업(Up)’에는 노인이 헬륨을 넣은 풍선을 이용해 집을 띄워 올리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에서는 작은 풍선들을 ... ...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포물선을 그리며 움직인다. 물론 힘이 좋은 선수의 공은 속도가 빨라 중력의 영향을 받을
틈
도 없이 직선으로 포수 글러브에 꽂힌다. 하지만 공을 멀리 던져야 한다면 아무리 힘센 선수의 공이라도 포물선을 그린다. 이 때 공을 가장 멀리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근육의 힘을 키워 공의 속도를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모두 갖췄다. 고정익 비행체인 정찰기는 일단 저속으로 비행하는 게 어렵고, 조그마한
틈
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회전익 비행체인 헬기도 저속 비행은 가능하지만 대신 소음이 심하다. 날갯짓을 하는 비행체는 형태가 큰 경우 비효율적이지만 작은 크기일 경우 저속 비행에 가장 효과적이다. 새와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런 현상은 갈라파고스 섬 주변에서도 발견됐는데, 화산활동을 하면서 생긴 땅의
틈
을 따라 메탄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메탄이 많이 나오는 것이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데 이산화탄소 보다 더 큰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1월 20일, 마침내 하와이 동쪽의 힐로 섬에 도착했다. 무려 33일 만이다.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둘러친 형태였다. 하지만 이런 울타리는 철사를 아무리 촘촘히 해놓아도 간혹 벌어진
틈
사이로 가축들이 쉽게 빠져 나가는 고질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어느 날 글리든은 가축들이 가시가 있는 장미넝쿨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철사를 새끼처럼 꼬아 군데군데에 철사 도막을 ... ...
셋째 날 상상하면 이뤄질까?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시작했어. 그 순간 바람이 불면서 아이들의 비명소리가 찢어질 듯이났지. 무서워할
틈
도 없이 그 여세를 몰아 한 번 더 돌아 내려오는 거야. 보기만해도 아찔했지만 놀이동산을 시시해 하는 내 친구들에게 소개하고 싶었어. 지구에도 뫼비우스 롤러코스터가 있다면 최고로 스릴 넘쳤을 텐데…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퍼지는 성질이 있지요. 그런데 만약 물체가 소리보다 빨리 움직이게 되면 파동들이 퍼질
틈
이 없어져서 모든 파장이 하나로 합쳐지게 돼요. 이렇게 합쳐진파동을 ‘충격파’라고 하는데, 소리 에너지가 압축돼 있어서 큰 소리가 나게 된답니다. 충격파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다른 현상도 일어나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