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뉴스
"
근처
"(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한→후베이성→중국 전역→오염지역→해외여행력無'로 확대된 사례정의
동아사이언스
l
2020.02.20
질병관리본부는 의사환자나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해당하는 사람은 긴급상황실(1339)이나
근처
보건소로 신고하라고 당부했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은 20일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에 개정한 사례정의의 가장 주요한 핵심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해외여행력이 없는 사람이라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환자를 진짜 죽이는 것은 차별
2020.02.15
기분이었다고 언급했다. 친했던 동료에게 전화를 해서 어디냐고 물었더니 자신의 집
근처
를 지나가는 것이 뻔히 보였는데도 아직 회사라고 거짓말을 한 일도 있었다고 했다. 이 외에도 다수가 이런 차별을 통해 삶에 회의를 느끼고 자존감이 꺾이는 경험을 했다고 보고했다. 이와 반대로 감염 당시 ... ...
[팩트체크]신종 코로나 중간숙주 지목된 동물은 '아르마딜로' 아니고 '천산갑'
2020.02.07
천산갑은 무기를 하나 더 갖고 있는데 바로 ‘냄새’다. 마치 스컹크처럼 항문
근처
에 있는 분비선에서 지독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뿜어내 자신을 보호한다 ... ...
중국 연구팀, 1년전 이미 '신종코로나 출현' 경고했다
연합뉴스
l
2020.01.30
식습관 문화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인 박쥐의 대부분은 인간
근처
에 살면서 잠재적으로 이 바이러스를 인간과 가축에 전염시키는데, 살아있는 상태에서 도축된 동물이 더 영양가가 높다는 중국인의 음식문화에 대한 믿음이 오히려 바이러스 전파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프리미엄 리포트]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01.26
설명했다. 가장 큰 변화는 발목 부분이다. 발목은 몸의 무게중심이 되는 배꼽
근처
에서 멀고, 동작이 많아 가벼우면서도 큰 힘을 내야 한다. 공 교수는 사람 근육의 움직임과 동작을 본 따 웨어러블 로봇에 스프링 역할을 하는 탄성체 구조를 넣었다. 그 결과 기존 로봇보다 걸음이 자연스러워졌을 ... ...
[에코리포트]영구동토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24
2018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아나스타샤 샤틸로비치 연구원은 러시아 알라제야강
근처
의 영구동토층에서 3만~4만 년 전에 살던 선충을 살려냈습니다. 연구팀은 수십m 아래의 영구동토에서 채취한 300개의 시료를 연구실에서 녹여 영양분을 공급하자 그중 2개의 시료에서 선충이 살아났습니다.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희대의 우주쇼다. 가장 최근 관측된 초신성은 1987년 대마젤란 성운의 독거미 성운
근처
에서 폭발한 초신성 ‘1987A’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에서 일어난 마지막 초신성 폭발은 1604년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관측한 ‘케플러 초신성’이다. 한국의 고천문학 사료 곳곳에도 초신성의 ... ...
학생이 실험하다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태양전지 혁신할 나노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각이 진 결정(크리스탈)의 씨앗(씨드)을 이용해 결정을 키우는 실험을 하다 모서리
근처
에서 결정이 스스로 갈라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오 연구원은 이 현상을 학계에 처음 보고했다. 구진은 정육면체 모양의 코발트산화물 나노입자를 기판으로 이용해 코발트산화물-망간산화물 이종접합체를 ... ...
[라돈사태 2년]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남았다
2020.01.12
사태전만 해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사태에서 보듯 생활제품이 호흡기
근처
에서 쓰인다면 몸에 영향을 미친다. 원안위가 2018년 5월 대진침대 중간조사에서 발표한 피폭선량에서도 토론의 영향은 라돈의 영향보다 최소 10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토론을 흡입한 사례가 보고되지 ... ...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성층권 온난화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 내륙에서 해안 쪽에서 계속 불게 했고 이는 해안
근처
에 산불이 날 확률을 높였다”고 말했다. 유칼립투스 나무가 많은 호주 수목의 특징도 산불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유칼립투스는 기름 성분을 공기 중으로 흩날리는 특성이 있고 잎이 건조해 불이 붙기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