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중립 앞당길
미생물
공장
2022.03.22
리파이너리 연구자들도 멋진 성과를 얻기를 기대한다. 1994년 토끼 똥에서 발견한
미생물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일산화탄소(CO)와 수소(H₂)를 먹고 에탄올(ethanol)을 내놓는다. 이 과정의 대사회로로, 아래 왼쪽에 중간 산물인 아세틸코에이(acetyl-CoA)가 보인다. 최근 연구자들은 그 아래 ... ...
세계 곳곳서 보고되는 꿀벌 집단실종 사건...식량위기 생태계 붕괴 신호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3.18
겨울새 벌들이 사라지는 집단 붕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양봉협회 제공 미국의
미생물
기업 시드는 2019년 사람의 식단이 꿀벌에 얼마나 의존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뉴욕 식당들과 협력해 꿀벌이 멸종하면 사라질 수 있는 음식들로 구성된 아침식사를 선보였다. 식탁에는 꽃가루받이 없이도 ... ...
광합성·포식 신종 해양
미생물
기후변화 대처 '비밀병기'될까
연합뉴스
l
2022.03.15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 바닷물의 영양분이 부족한 상황이 벌어지는데 이때 해양
미생물
이 탄소가 풍부한 생체고분자를 자연적으로 생성하면 미래의 바다에서 생물학적 탄소펌프를 계속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eomns@yna.co.kr (끝) ...
코로나19 바이러스 두 표적 동시 공략하는 백신 첫 임상서 항체 형성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후보물질 ‘COH04S1’의 임상 1상 결과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국제학술지 ‘랜싯
미생물
학’에 10일 공개했다. 지금까지 각국에서 허가를 받은 코로나19 백신은 100%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 문제는 델타나 오미크론 변이처럼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 ...
[프리미엄 리포트] 몸과 마음을 여는 1조개의 열쇠
2022.03.05
알아냈다. 2013년 미국 존스홉킨스대 등 공동연구팀은 장내에 있는 후각수용체가 장내
미생물
이 만든 화합물을 감지해 호르몬과 혈압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간의 지방세포에도 백합향에 반응하는 후각수용체가 존재하는데, 2017년 필자의 연구팀은 연세대 연구팀과 함께 이 후각수용체를 ... ...
수십억 단백질의 비밀 '머신러닝'으로 푼다…이미 680만개 해독
연합뉴스
l
2022.03.03
그 기능이 베일에 싸여있다. 빌레쉬는 단백질을 작은 기계에 비유했다.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
부터 사람 같은 고등 생명체에까지 존재하면서 감염에 맞서 싸우는 일부터 학교에서 치른 시험에서 1등을 하는 일까지 많은 일들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런 단백질의 기능을 파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 ...
전기 자극받은 '효모' 온몸으로 표현한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표현했다. 단세포 균류로 이뤄진 효모는 빵이나 맥주, 와인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
로 알려져 있다. 전기 자극은 효모의 세포막을 개방하거나 반대로 비활성화해 효모의 작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효모 배양이 효율적으로 이뤄지면 알코올 ... ...
[의학바이오게시판] 와이브레인, 110억 원 규모 상장 전 투자유치 완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4
세라젬, 인터베스트, KT&G가 참여했다. 와이브레인의 누적 투자금은 336억 원이 됐다. ■
미생물
진단기업 퀀타매트릭스는 서울성모병원이 신속 항생제 감수성 검사 시스템 ‘dRAST’를 도입하고 환자 적용을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dRAST는 신속 항생제 감수성 검사 시스템으로 패혈증 양성 판정 ... ...
모든 혈액형 이식 가능한 '장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사람 장에서 당분을 분해하는 효소를 활용해 A형 항원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장내
미생물
중 일부가 소화기관 벽에 붙어있는 당분인 ‘뮤신’을 분해해 섭취하는 데 쓰는 효소를 이용했다. 뮤신은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로 적혈구 항원과 비슷하다. 연구팀이 이 효소를 A형 혈액형 ... ...
입 안 헹구면 끝…코로나 검체 채취 가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대체할 수 있을 만큼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10일 국제학술지 '
미생물
스펙트럼'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두운 바이오쓰리에스 대표(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구강 가글은 면봉을 이용한 검사 대신 비침습적인 타액을 이용한 진단검사"라며 "조기 진단과 신속항원검사의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