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광"(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2017.01.03
- 분야의 개척자로 불리는 이유다. 로버츠는 학부생을 위한 유기화학 교재를 비롯해 NMR 분광학, 분자궤도이론 등 다양한 분야와 수준의 교재를 집필했다. 로버츠 역시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이언스’에 부고를 쓴 하버드대 조지 화이트사이즈 교수는 1960년대 로버츠의 실험실에서 대학원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 펨토초레이저로 화학반응의 명장면을 포착한 화학자 아흐메드 즈웨일2016.12.27
- 떠났다. 당시 이집트는 소련과 더 가까웠기 때문에 흔치 않은 경우다. 이곳에서 그는 분광학을 연구했고 1976년 칼텍에 자리를 잡았다. 1980년대, 1990년대에 걸쳐 즈웨일은 자신이 명명한 ‘펨토화학(femtochemistry)’ 분야를 개척했다. 펨토는 10의 -15승을 뜻하는 접두어로, 펨토화학은 펨토초 단위에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화합물을 연구했다. 크로토는 미국 라이스대 화학과의 리처드 스몰리 교수가 단순명료한 분광학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는 얘기를 듣고 1984년 3월 스몰리 교수 실험실을 방문했다. 두 사람은 의견을 교환했고 스몰리 교수의 장비가 크로토 교수가 성간 구름에서 관측한 긴 사슬의 ... ...
- 혈관 치료해 암세포 공격… 신개념 암치료 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3
- 수용체 단백질 ‘TIE2’를 활성화하자 암 주변 혈관이 안정화 된다는 사실을 자기공명분광촬영(MRS)으로 확인했다. 이어 연구진은 3종류의 종양(뇌종양, 유방암, 폐암)에 걸린 쥐에게 1~2개월간 항암제와 TIE2를 활성화하는 물질을 함께 투여하며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항암제만 투여했을 때에 비해 ... ...
- “실험도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나요?”2016.10.16
- 함께 실험교육을 온라인으로 대체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가상의 감마선 분광기를 이용해 원소와 동위원소를 구분하고, 스페인 마요르카 천문대의 망원경이 관측한 내용을 온라인에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의 현미경을 이용해 표본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관측할 수도 있다. ... ...
- 과학계 새롭게 떠오르는 일자리 ‘연구장비 전문가’2016.10.11
- 2015년 1월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분석업체 ‘켐트레이스’에 취업해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분석기(ICP-MS)를 운영하고 있는 김연정(25) 씨는 “함께 교육을 받은 동기들이 원하는 곳에 모두 취업했다”며 “사람들이 아직 잘 모르는 일이지만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연간 100여 명 ... ...
- 화학실험도 아~트하게, 느낌있게과학동아 l2016.07.20
-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등 파장이 짧은 빛을 낸다. 화학반응의 진행 과정을 고가의 분광기 없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셈이다. 메이어 교수는 “색깔로 화학반응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화학반응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男男’ 커플이 ‘女女’ 커플보다 손발 잘 맞아2016.06.08
- 수 있다. 또한 연구팀은 뇌의 어느 부위가 협동에 관여하는지 찾기 위해 근적외선 분광법(NIRS)을 이용했다. 그 결과, 동성 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남성끼리 짝을 맺은 조가 여성끼리 짝을 맺은 조보다 협동 점수가 더 높았다. 거의 동시에 버튼을 눌렀다는 뜻이다. 협동 점수는 참가자들의 뇌에서 ...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06.02
- 핵물질의 상태를 연구하기 위해 중이온충돌실험을 계획하고 있다. ‘대수용다목적핵분광장치(LAMPS)’라고 부르는 이 시설에서는 두 개의 무거운 중이온을 충돌시킨 뒤 지름이 2m에 이르는 원통형 검출기를 이용해서 충돌로부터 나오는 입자들의 물리량을 측정한다. 이를 이용하면 중성자별과 같은 ... ...
- 금 나노입자에 ‘팔’ 12개 붙여보니2016.05.10
- 광학 특성 및 전기장 세기 증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KAIST 측은 이번 연구가 분광법을 이용한 물질 검출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걸로 보고 있다. 위조지폐 검사 같은 분야에서부터 인체 내 약물 전달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박 교수는 “금 나노입자는 안정성이 높고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