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14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선정 2024년 과학계를 빛낸 10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21
따로
세포
치료제를 만들어야 하는 셈이다. 후지 교수의 연구처럼 다른 사람의 면역
세포
를 이용하면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상용화한 치료제로 자가면역질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웬디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교수. 네이처 제공 웬디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교수는 지난 4월 ... ...
국립암센터 직원 피폭량 기준 미만…과태료 700만원 부과 예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사고를 당했다. 선형가속기는 고주파로 고에너지 전자선과 X선을 발생시켜 환자의 암
세포
에 조사하는 치료기기다. 국립암센터 선형가속기 치료실 내부 구조.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사고 경위 조사에 따르면 발생 전인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정비작업자가 선형가속기를 정비하고 자리를 ...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노인·어린이·임신부 예방접종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인플루엔자 외 호흡기 감염병도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청 표본 감시 결과 호흡기
세포
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입원환자가 최근 4주간 1.9배 증가했다. 입원환자 1417명 중 0~6세 영유아가 전체의 83.9%를 차지했다. 백일해 환자는 9월 말 이후 증가세를 보이다 12월 이후 소폭 감소 중이다. 7~19세 ... ...
2024년 과학 이슈·신기술 담은 '올해의 단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정자와 난자가 만나 결합된 수정란인 '배아(embryo)'의 합성어로 스템브리오는 줄기
세포
를 배양해 인간 배아를 만든 것을 의미한다. 영국, 이스라엘, 미국 등에서는 스템브리오를 만드는 연구가 활발하다. 1990년 영국에서 처음 도입돼 전 세계 학계에서 따르는 규칙인 '14일 규칙' 때문이다. 실험실에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제4의 물질’ 플라즈마로 암
세포
만 공격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암 치료법을 대부분의 암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세포
소통과 신호전달’에 최근 게재됐다. ■ 고려대구로병원은 김진원 심혈관센터 교수, 유홍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융합 연구팀이 심장 박동으로 인한 동맥 떨림에 생체 영상을 동기화해 안정화가 ... ...
[과기원NOW] 교모
세포
종 '항암제 내성' 극복할 단서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중 하나다. APE1 등 표적 유전자에 암호화된 단백질을 억제하는 약물과 TMZ를 병용하면 교모
세포
종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에 지난 5일 게재됐다. ■ KAIST는 정상권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자기장 변화를 이용해 단열 탈자 ... ...
덜 먹으면 덜 늙는 이유 뭘까…분자에서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리토콜산이 들어있는 식수를 제공하자 신진대사가 개선되고 인슐린 민감도가 높아지며
세포
의 에너지 생성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리토콜산을 얻은 쥐는 얻지 않은 대조군 쥐보다 멀리 오래 달리는 변화도 보였다. 늙은 쥐가 원기 왕성해지는 변화를 ... ...
노벨상 수상자와 협업한 포스텍, AI 유전자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3배 커서 훨씬 많은 유전자를 담을 수 있었다. 실험 결과 나노케이지는 표적
세포
까지 목표 유전자를 성공적으로 전달했다. 이 교수는 "AI의 발전으로 인류가 원하는 인공단백질을 설계하고 조립하는 시대가 열렸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유전자 치료제는 물론 차세대 백신 등 의생명 분야 혁신에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항공 클러스터 융복합 협의체’ 출범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발병하는 난치성 희귀뇌질환이다. 임 책임연구원은 백질뇌병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세포
막 단백질 MLC1, 글리아CAM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연구해 상세한 병인 기전을 규명하고, 치료를 위한 기반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2년 동안 19만8069유로(약 3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 ... ...
알츠하이머병 원인 '타우단백질' 제거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신경계와 근골격계에서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과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희귀질환인 다기관 단백질 질환(MultiSystem Proteopathy)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타우단백질 제거 기능은 아직 학계에 보고된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