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뉴스
"
실용화
"(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로 만든 투명로봇, 인형뽑기 기계처럼 물고기를 움켜잡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MIT연구진, 하이드로젤 로봇 공개 (영상 : MIT에서 개발한 하이드로젤 로봇을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 모습 / 출처 : 육현우(MIT Soft Active Materials Lab)) ... 투명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있다. 육 연구원은 “하버드대 등 다른 연구팀과
실용화
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짜증나는 명절 교통 체증, 5년 뒤면 없어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1.29
충돌을 더 잘 회피하고, 교통 체증도 줄어들겠죠. 국토교통부는 초정밀 GPS의
실용화
를 앞당기기 위해 민간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올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범서비스를 시작합니다. 또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자율주행차 시범주행이 가능하도록 2018년부터는 전국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 ...
‘CES 2017’의 핵심 키워드 4개를 꼽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1.16
21년 이후가 되면 대부분의 자율주행을 자동차가 스스로 수행하는 L3.5 정도의 자율주행이
실용화
될 걸로 예상된다”면서 “차세대 이동통신기술(5G)와 융합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집중적인 개발과 투자가 빨리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류혜정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 ... ...
유전자 편집기술 ‘크리스퍼’ 효율 100배까지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0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성과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실용화
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네이쳐 메소드(Nature Methods) 온라인판 19일자에 게재됐다. 미래창조과학부 ... ...
SF영화의 ‘레이저 무기’, 한 걸음 더 현실로!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보정하는 기술 역시 필요했다. 국내 연구진이 이같은 문제를 해소해 레이저 무기
실용화
를 한층 앞당길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 우주광학센터 연구팀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기초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및 공주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실리콘 ... ...
[ESC의 목소리(7)]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정책 제안
2016.12.17
활용산업을 찾아서
실용화
사업을 지원하고, 두 부처가 기초부터 응용ㆍ산업기술
실용화
까지 전 단계를 포괄허는 중장기 지원 프로젝트를 융합해서 만들어야한다. 3. 대학과 출연연들을 연계한 안정적 과학기술인력 양성 체제를 구축해야만 한다. 대기업에선 현장 실무 경험이 있는 인재를 ... ...
“불법조업 꼼짝 마!”… 바다 위 시속 133㎞ ‘씽’
2016.11.18
중이다. 공 팀장은 “지금까진 항우연이 독자적으로 드론을 개발해 왔지만 내년부터는
실용화
단계를 염두에 둘 계획”이라며 “해경처럼 복합형 드론을 실제 활용할 기관과 협력 연구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
불가능했던 췌장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만 받으면 OK
2016.11.17
백 원장은 “이번 기술 개발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췌장암 조기 진단 방법을
실용화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 추세대로라면 2020년엔 세계적으로 41만8000여 명이 췌장암으로 사망할 것으로 추정했다. ... ...
저장 용량 50% 더 늘린 대용량 배터리 나온다
2016.10.24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 전력난의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실용화
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경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융합연구단장(사진) 팀은 ‘프러시안 블루 아날로그’란 이름의 금속유기구조체 소재를 이용해 새로운 전극 소재 개발에 ... ...
미래형 ‘양자컴퓨터’ 개발 성큼… 고성능 양자광원 개발
2016.10.18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 컴퓨터’
실용화
를 앞당길 차세대 반도체 원천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피라미드 모양의 고효율 ‘양자점(Quantum dot)’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자점은 광자(빛의 입자)를 내뿜는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크기의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