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뉴스
"
일
"(으)로 총 52,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으로 갯지렁이 수 확인…세계적 가치 한국 갯벌 연구 새 시대
과학동아
l
2025.06.14
● "세계 제
일
의 갯벌, 우리가 지켜야" 왜 KIOST 연구자들은 이렇게까지 갯벌을 연구하는 것
일
까. 우선 한국의 갯벌이 차지하는 위상이 세계적으로 독보적이기 때문이다. 구 책임연구원은 전 세계 '5대 갯벌'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세계 5대 갯벌로 한국 서남해안 갯벌과 함께 유럽의 북해 연안 갯벌, ... ...
[사이언스영상] 작은 터널 하나로 양서류 80% 살렸다
SEIZE
l
2025.06.14
양서류는 몸집이 작고 움직임이 느려서 도로를 건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차에 치
일
위험이 크다. 특히 수백, 수천 마리가 한꺼번에 이동하는 탓에 한 번의 사고에 여러 마리가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에 참여한 브리타니 모셔 버몬트대 교수는 “이틀 밤 동안 도로에서 죽은 동물의 수를 ... ...
싱크홀 부르는 도로 균열, 미래엔 '혼자'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25.06.14
균열이
일
어나기 때문이다. 2022년 6월 연구팀은 식물성 기름으로 이뤄진 재생제를
일
정 비율로 혼합해 지름 1mm의 다공성 '미세캡슐'을 만들었다. 미세캡슐을 혼합해 만든 아스팔트는 균열이 생겼을 때 캡슐이 터지면서 안에 있는 복원 물질이 방출된다. 생명체가 상처를 자가 치유하는 것처럼 도로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컴퓨터로 만든 '마스크' 덧씌워 유화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6.14
마스크를 다시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색상 정보 등이 담긴 마스크의 '설계도'는 파
일
로 저장돼 미래의 보존 전문가들이 참조할 수 있다. 연구팀은 "연구결과가 보존 전문가들에게 복원 과정의 예측 가능성과 유연성을 제공한다"며 "비용 부족으로 우선순위에서 밀린 수많은 그림을 복원할 수 ... ...
화성에서 눈으로 오로라를 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14
격렬해지면 고에너지 입자를 많이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태양 표면에 폭발이
일
어난 지 3
일
뒤인 3월 18
일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를 이용해 오로라 현상을 포착했어요. 퍼서비어런스는 2021년 2월 화성에 착륙해 화성의 대기, 지질 등을 탐사하는 로봇 탐사차입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국가기록관리 유공 대통령 표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로고. 천문연 제공 ■ 한국천문연구원은 9
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2025 기록의 날 행사에서 국가기록관리 유공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3
일
밝혔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주관하는 국가기록관리 유공 포상은 기록관리 발전과 기록문화 확산에 기여한 기관과 단체를 발굴하여 시상한다. ... ...
[과기원NOW] KAIST,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초소형 고해상도 분광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DGIST)은 피지컬 인공지능(AI) 전략추진단이 13
일
서울에서 김주형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
리노이대 교수와 공동으로 '2025 임바디드 AI/피지컬 AI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인공지능이 물리 환경에서 인식, 판단하며 스스로 행동까지 수행하는 피지컬 AI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 ... ...
바이러스서 새 단백질 4208개 발견…"백신 개발 단서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때문에 연구팀은 바이러스 전체를 배양하는 위험을 수반한 실험 대신 리보솜 프로파
일
링 기법으로 바이러스 내 미세 단백질을 추적했다. 바이러스 유전체에서 미세 단백질로 번역되는 영역인 ‘오픈 리딩 프레임(ORF)’들을 새롭게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은 ”아직도 숨겨진 ORF와 단백질들이 ... ...
[동물do감] 새들은 왜 새벽에 울까…자리 싸움과 먹이 정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검토한 결과 영역성이 강한 종
일
수록 새벽에 노래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곤충과 과
일
을 함께 먹는 잡식성 종 또한 새벽에 더 자주 울었다. 잡식성 조류가 먹이 탐색과 포식자 경계 등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해 새벽에 활발히 노래한다는 것이 연구팀의 결론이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는 새벽 ... ...
美 학계 '뮤온 충돌기' 제시…예산 삭감에 실현가능성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연구소인 페르미랩(Fermilab) 부지 넓이인 27.5제곱킬로미터 내에 들어갈 정도로 크기를 줄
일
수 있다. 올해 4월 세부 검토안이 나온 LHC 3배 크기의 차세대 입자가속기 '미래 원형 충돌기(FCC)'는 길이가 91킬로미터에 달한다. 뮤온의 빠른 붕괴속도 때문에 입자를 생성하고 가속해 충돌시키는 과정을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