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임
전근
이동
양도
전직
이직
전임자
뉴스
"
전임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도 높은 운동, 암 생존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학술지 ‘저널 오브 캔서’ 9일자에 발표했다. 운동의 강도별로 암 생존율을 조사한
전임
상실험은 이번이 처음이다. 암 환자는 근육이 줄어드는 합병증으로 사망률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횡격막 근육이 줄어들어 생기는 ‘침강성 폐렴’은 암 환자 사망률을 높이는 대표적인 합병증이다 ... ...
과기대 교수들도 시국선언 동참해 朴 대통령 퇴진 요구
2016.11.23
교수협의회 회장(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과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등 전체
전임
교수 627명 중 46.7%가 참여했다. 시국 선언문 발표 이후에도 온라인으로 참여를 받고 있어 시국선언 동참 교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같은 날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150명도 학교 본관 앞에 모여 ... ...
사고의 기억 ‘트라우마’ 극복 가능해졌다
2016.08.30
3년간 더 진행한 뒤 본격적인 임상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다. 류 교수는 하버드대
전임
의, 서울대 의대 정신과 교수를 거쳐 2013년 문을 연 이화여대 뇌융합연구원의 초대 원장으로 부임했다. 서울대병원에서 ‘불안장애 클리닉’을 운영하면서부터 PTSD에 집중해 왔다. 소방관과 경찰관, 탈북자를 ... ...
한국연구재단 신임 이사장에 조무제 전 UNIST 총장
2016.08.24
한국학술진흥재단,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이 통합돼 2009년 출범했다. 올해 7월
전임
정민근 이사장이 임기 6개월을 남기고 개인적 사유로 물러남에 따라 이사장 자리는 1개월 동안 비어 있었다. 조무제 한국연구재단 신임 이사장 취임식. - 한국연구재단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로봇’이다. 한국인 과학자인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전임
연구원 팀은 서강대, 미국 스탠퍼드대와 공동으로 생체모방 가오리 로봇을 개발해 ‘사이언스’ 8일자에 발표했다. 납작한 몸통에 긴 꼬리를 가진 가오리는 머리에서 꼬리까지 웨이브를 타며 빠르게 헤엄칠 수 있다. ... ...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
2016.07.08
로봇을 만든 주인공은 재미 한국인 과학자인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전임
연구원이다. 박 연구원은 최정우 서강대 교수팀, 미국 스탠퍼드대와 공동으로 가오리를 모방한 가오리 로봇을 개발해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8일자에 처음 공개했다. 가오리는 납작한 몸통에 긴 ... ...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
2016.06.03
차세대 전자코 기술은 국내 연구진이 가장 앞서 있다. 권오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
연구원 팀은 박태현 서울대 융합기술연구원 원장 팀과 공동으로 지난해 10월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람처럼 냄새 분자를 직접 탐지할 수 있는 전자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최근에는 미국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독일에서는 현재 헬륨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를 실제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한
전임
상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INTERVIEW “중이온가속기는 한국 기초과학의 새로운 출발점” 정순찬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장 남윤중 제공 부슬부슬 봄비가 내리는 ... ...
“신약 개발, 선발-마무리 역량 보강해야”
동아일보
l
2016.05.09
가장 약한 역량은 ‘타깃 발굴’(11%)이었다. 신약 개발은 ‘타깃 발굴-후보물질 선정-
전임
상(동물 대상) 실험-임상(사람 대상) 시험’ 순으로 이뤄진다. 질병 치료제를 개발할 때 그 질병의 원인 중 어느 부분에 집중해 치료할 것인지 찾아내는 작업이 타깃 발굴이다. 신약 개발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 ...
유방암 세포만 골라 ‘찰싹’ 달라붙는 항암제 전달 물질 개발
2016.01.12
보통 항암치료 기법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전상용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전임
상과 임상연구를 거쳐 궁극적인 암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지난해 12월 28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