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고
최상
극상
일등
첫째
가장
으뜸
뉴스
"
제일
"(으)로 총 552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오늘밤
제일
바쁜 산타 썰매의 비밀
2014.12.24
Pixabay 제공 크리스마스 이브, 단 하룻밤 새에 전 세계 착한 어린이에게 선물을 전해주는 산타클로스는 동화 속 존재다. 하지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진은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을 지켜 주기 위해 첨단 기술에 상상력을 더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주인공은 래리 실버버그 항공우주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동아일보] 승화작용이 만든 겨울 ‘상고대’ 겨울 하면
제일
먼저 하얀 눈이 생각나죠? 하지만 겨울에만 볼 수 있는 절경이 또 있습니다. 바로 상고대입니다. 상고대는 추운 날씨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나무나 풀에 얼어붙어서 생긴 얼음꽃을 말하는데요. 동아일보 22일자 A13면에는 한파가 소양강에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한 눈에 술꾼임을 알 수 있다. 저자 역시도 책에서 인정하며 자신은 술 가운데 위스키를
제일
좋아한다고 고백하고 있다. 문득 필자가 기자를 막 시작할 무렵 이차 삼차 이 술집 저 술집으로 자정이 넘도록 후배들을 끌고 다니던 한 선배 기자가 떠올랐다. 그렇다고 책까지 술 취한 상태에서 대충 ... ...
자궁경부전암, 백신으로 치료 성공
2014.10.31
성영철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 본인 제공 제공 성영철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제일
병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자궁경부전암 후기 환자 9명에게 이 백신을 투여한 결과 이 중 7명(78%)에게서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됐으며 암세포도 사라졌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 이 백신이 다기능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6학년이 돼서야 남자선생님을 만나 무척 기뻤다. 필자는 반에서 키가
제일
작아 맨 앞줄에 앉았는데, 하루는 선생님이 불쑥 키가 얼마냐고 물으셨다. “12×인데요.” “그렇구나. 커서 160은 돼야 할 텐데….” 필자 머리를 쓰다듬으시며 혼잣말처럼 얘기하실 때 안쓰러워하시던 표정이 지금도 ... ...
[新 알파우먼, 엄마에서 과학자로 ③]“엄마 과학자 되고 싶다면…”
2014.08.24
볼 때마다 감회가 새롭고 뿌듯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직접 보고 느끼는 것이
제일
”…‘홍길동 여사’의 교육 노하우 김 연구교수는 주변에서 ‘홍길동 여사’로 통한다고 말했다. 분명 서울에 있었는데 대전에서 나타나고, 또 해외 학회장에도 번쩍번쩍 나타나기 때문이다. ... ...
[인터넷 코리아 20년]앞으로 20년 ‘사물인터넷’이 화두다
동아일보
l
2014.06.20
미디어 톰슨로이터 IP앤사이언스 자료를 인용해 “미국에서 스마트홈 관련 특허 신청을
제일
많이 한 기업은 삼성”이라며 “삼성이 지금까지 미국에 신청한 특허 수는 150건에 육박해 2위인 소니보다도 2배나 많다”고 보도했다.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 ...
[이주의 과학신간] 못된 건축 外
과학동아
l
2014.06.08
건축물이 있다. 올해 3월 개관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다. 건축물 모양도 신기하지만
제일
평화시장을 비롯한 주위 다른 건축물과 비교돼 더욱 특이하게 보인다. 이경훈 국민대 교수는 신간 ‘못된 건축’에서 이 DDP가 서울에 꼭 필요한 ‘착한 건축’이라고 말힌다. 도시의 건축물은 ... ...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과학동아
l
2014.05.30
특히 재료, 물리, 화학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면서 “각 분야에서 세계
제일
의 수준으로 봐도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면서 “연구자들이 창의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에 장기적으로 ... ...
삼성 모든 기술-인력 모아 ‘미래 먹거리’ 찾는다
동아일보
l
2014.05.26
가진 기술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적용되는
제일
모직의 필름 기술을 응용하면 플렉시블 배터리 양산 시점을 더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수원=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