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89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별은 하나로 합쳐지며 자기장을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두개의 별이 합쳐지는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파비앙 슈나이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천문학
연구소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거대별이 서로 융합되는 동안에 자기장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조사했다. 거대 별은 태양 크기의 1.5배로 그 중 약 10%가 아주 강력한 표면 자기장을 갖고 있다. 이런 강력한 표면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2013년에는 러시아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소행성이 폭발하는 사고도 있었다.
천문학
자들은 올해 6월 기준 1981개의 지구위협소행성을 발견했다. 지난해 1년 동안 새로 발견한 지구위협소행성만 총 83개에 달한다. 대부분 미국 연구팀들이 찾아내고 있다.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필요한 이유는 확인된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외계행성의 발견이다. 송용선 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문센터장은 “우주론은 물리학과
천문학
의 융합학문이다.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이 두 가지 다른 학문이 어떤 방식으로 융합해야 하는지 해답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우주의 시초부터 우주배경복사가 나오기까지 물리적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천문학
은 수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가장 오래된 과학 분야 중 하나지만, 외계행성
천문학
의 역사는 30년도 채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시작이 된 마요르와 쿠엘로의 위대한 발견은 우리가 우주를 올려보는 시선, 그리고 우주 속 우리를 내려다 보는 시선 모두를 완전히 바꿔 놓았다. 그들이 받은 ... ...
우주 최강 자석별 '마그네타' 두 별 충돌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것도 시뮬레이션 결과 확인됐다. 두 별이 하나로 합쳐지는 일은 드문 일은 아니다.
천문학
자들은 은하수 내 별의 10%가 두 별이 하나로 합쳐져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슈나이더 연구원은 “별들을 관측하면 10% 정도가 표면에서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측되는데 이는 우주상에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연구자가 아니었으면 우주배경복사 발견은 세상에 없었을 것이다. 우주론은 물리학과
천문학
의 융합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피블스는 이 두 가지 상이한 학문이 어떤 방식으로 융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 입자물리학에서 알려진 표준모형이 어떤 방식으로 우주팽창 과정에서 ... ...
우주의 구조와 진화 과정 계산하는 물리우주론, 노벨상을 거머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수상한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 위키미디어(Juan Diego Soler) 제공 이후
천문학
자들은 빅뱅이론을 토대로 우주가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해 왔는지 관측과 이론적 계산을 통해 구체적으로 탐구해왔다. 1940년대 후반 미국 물리학자인 랄프 알퍼와 로버트 허먼, 조지 가모브는 뜨거운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있었다. 태양계의 가장 큰 가스행성인 목성과 비슷한 가스형태의 행성이다. 이 발견은
천문학
에서 혁명을 가져왔다. 이후 은하수에서 4000 개가 넘는 외계 행성이 발견됐다. 엄청나게 다양한 크기, 형태 및 궤도를 가진 이상한 새로운 세계가 여전히 발견되고 있다. 새로이 많은 세계들이 발견되며 ... ...
노벨물리학상에 빅뱅이론 뒷받침한 이론가·외계행성 발견한 과학자들(종합)
2019.10.08
존재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알려졌다. 노벨상위원회는 “두 사람의 발견은
천문학
에서 혁명을 가져왔으며 지금까지 은하계에서 4000개가 넘는 외계행성이 발견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며 “외계 행성을 탐색하려는 수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며 결국 지구와 유사한 외계행성과 다른 생명체가 ... ...
노벨상에 관한 아주 사소한 질문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추천서는 다음 해 2월 1일까지 받는다. 지난 2015년 9월 첫 중력파 관측에 성공하며 중력파
천문학
시대를 연 미국 소재 중력파 관측소인 ‘고급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LIGO)’ 연구단이 2017년에서야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된 이유다. 연구단은 중력파 검출 이후 5개월만인 지난 2016년 2월 인류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