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뉴스
"
천체
"(으)로 총 1,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충돌 확률 0.41% 지름 2m짜리 소행성 지구로 접근한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크기는 최소 10km 지름을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300여 개의 소행성이 지구위협
천체
목록에 올라와 있으며 새로운 소행성들이 발견되고 있다. 2018VP1은 11월 2일 지구와의 거리가 약 5000km 이내로 좁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NASA의 분석에 따르면 충돌 위험은 약 0.41%로 낮으며 충돌하더라도 지상에 ... ...
테슬라 크기 소행성, NASA '깜깜이' 속 지구 최근접 지나쳤다
연합뉴스
l
2020.08.19
[나사 홈페이지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작은 소행성 하나가 기록상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다가 스쳐 지나갔다. '2020 QG'로 명명된 이 소행성은 전기자동차 테슬라 ... 접근하거나 크기가 460피트(140m) 이상인 소행성을 잠재적 위험성을 가진 지구근접
천체
로 분류하고 있다. ... ...
[오늘의 우주과학]"성간
천체
오우무아무아, 수소 얼음으로 만들어질 수 없어" 기존 가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규명하는 것은 여전히 천문학자들에게 남겨진 숙제”라며 “성간
천체
연구는 우주의 기원을 밝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
물리학센터 연구원과 매사추세츠공대(MIT), 독일 라이프니츠
천체
물리학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지난해 1월부터 허블우주망원경의 자외선분광학측정기를 이용해 베텔게우스를 관측한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지난해 9~11월 사이에 뜨거운 고밀도 물질이 지구에서 봤을 때 ... ...
행성사냥꾼 테스 2년간 찾아낸 외계행성만 2100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테스는 ‘
천체
면통과 외계행성 탐색위성’의 영문 앞글자를 모은 이름이다. 이름 그대로
천체
면을 통과하는 외계행성을 찾아낸다. 태양과 같은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이 항성면을 통과하면 항성이 내는 빛의 밝기가 어두워진다. 항성이 주기적으로 어두워졌다 다시 밝아지면 행성이 별 주위를 돌고 ... ...
소행성 '세레스' 땅 속엔 거대한 소금 호수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물은 지금도 활발히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아 크리스티나 산티스 이탈리아 국립
천체
물리학연구소 연구원팀은 오카토르 충돌구 중앙의 하얀 성분이 하이드로할라이트(NaCl·2H₂O)라는 소금 성분인 것을 밝혀냈다. 하이드로할라이트는 염화나트륨과 물이 결합한 물질로 바닷물이 얼 때 주로 ... ...
[과학게시판] 과천과학관, 2020 천문우주페스티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생중계한다. 이밖에도
천체
투영관 영화제와 별빛음악회, 별빛체험 행사, 스마트폰
천체
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회 등이 열린다. ■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10일부터 23일까지 초등 교원 760명과 중등 교원 316명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핵심 교원 연수를 실시한다. 그동안 집합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019년
천체
사진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윤은준씨의 '페르세우스 유성우' 사진이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매년 8월경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이달 12일 밤하늘에서 시간당 100개 이상의 별똥별이 쏟아지는 우주쇼가 펼쳐진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장마 영향으로 강원 영동지역에서만 이 ... ...
지구에서 가장 별보기 좋은 곳 어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칠레나 하와이 같은 고도가 높은 중위도 지역이다. 시상은 지구대기의 흔들림 때문에
천체
가 흐릿하게 보이거나 감빡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시상은 보통 '각초'라는 단위로 측정한다. 별의 이미지의 지름을 각초로 측정한다. 각초가 작을수록 별을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다. 칠레나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달해 마치 천왕성이 공전면을 따라 바퀴처럼 굴러가는 모양새이다. 지구 정도 크기의
천체
가 충돌한 결과로 추정된다. 천왕성의 발견은 얼마지 않아 19세기 해왕성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천왕성의 공전주기는 84년이다. 1781년 처음 발견한 뒤로 천왕성이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돌았을 때는 1865년이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