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산
회계
셈
산출
원가계산
원가
합산
스페셜
"
계산
"(으)로 총 672건 검색되었습니다.
알파고 한계 뛰어넘는 ‘AI 자전거’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칩’이 대표적이다. 또 다른 연구자들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인간 신경망이 쓰는
계산
법을 그대로 따라 하게 한다. AI의 주요 기능인 기계학습은 이 방법을 따른다. 최근까지 이들 연구는 각자 성과를 냈지만 서로 호환되지 않아 통합이 어려웠다. 뉴로모픽 칩의 일종인 ‘스파이킹 신경망(SNN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드웨어도 소프트웨어도 인간 닮은 칩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3
개발해 인간 뇌의 효율성을 반도체에 입히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간 신경망이 쓰는
계산
법을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다. AI의 주요 기능인 기계학습은 여기서 나온다. 시 루핑 중국 칭화대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31일 네이처에 이 두 가지 전략을 통합한 새로운 개념의 인공지능(AI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알아냈다. 이를 토대로 우주 팽창 패턴이 나왔고 허블상수(현재의 허블계수)를
계산
할 수 있었다. 2007년 발표한 값은 70.4(+1.5, -1.6)였다. 2001년 프리드먼 박사팀의 허블상수 72(+8, -8)와 양립할 수 있는 결과로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었다. 2009년 발사된 플랑크 위성은 4년 반에 걸친 관측 데이터를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게 아니라 단백질 구조를
계산
하는 데 수학적 함수를 사용한다. 수학적 함수 기반으로
계산
된 단백질 구조를 기반으로 진보된 인공지능 기법인 ‘딥러닝’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알쿠래시 박사의 알고리즘 시스템의 핵심도 물론 신경망이다. 이 신경망은 아미노산 시퀀스가 어떻게 단백질 ... ...
익명 정보 10가지만 조합하면 10명 중 9명 맞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1000명을 식별해 내도록 했을 때 실제로 개인이 제대로 식별되지 않을 확률은 5.27%로
계산
됐다. 데이터의 수가 늘어날수록 식별률은 점차 높아졌다. 연구팀이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인구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해본 결과 성별과 나이, 결혼 여부 등 10가지 정보가 제공되면 식별률은 90%를 넘겼다. 15가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볼 수 있는 결과다. 그러나 충격정점진폭에 이를 때까지 발에 전해진 충격량(impulse)을
계산
하자 다른 결과가 나왔다. 충격정점진폭에 이를 때까지 지면에 가해진 힘 그래프의 적분(아래 면적)에 해당하는 충격량은 쿠션 있는 신을 신은 그룹이 맨발 그룹보다 3.0배, 쿠션 없는 신 그룹보다 2.5배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있겠지만 숲의 기존 생물량과 추후 20년 동안(태양광 패널 수명) 포집할 이산화탄소까지
계산
에 포함하면 절대 그렇게 나오지 않을 것이다. 숲을 파괴하면서 만든 태양광 발전소는 지구온난화를 늦추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지금 우리의 목표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고 ... ...
차 안의 AI가 내게 말했다 “5분 뒤 시속 40km로 주행가능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치를 시스템에 학습시켰다. 연구팀은 “이를 기반으로 여러 도로 사이의 인과관계를
계산
해 교통정체를 예측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연구팀이 울산광역시 전역 도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특정 도로구간에서 15분 후에 벌어질 도로 속도를 평균 4km/h 내외의 오차로 예측해 낸 것으로 ... ...
[주말N수학] 수학자 힐베르트 17번 문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를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9.07.06
다항식이 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했던 기존 방식이 복잡한 문제를
계산
하는 것이었다면,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풀기 쉬운 여러 개의 식을 연립해서 푸는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이 방식을 이용하면 훨씬 빠르게 다항식이 음이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연구에 ... ...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후보 소재 상위 3개는 지금까지 알려진 열전소재의 상위 5% 수준의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계산
됐다. AI는 과거에 발견한 열전소재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2008년까지 발표된 논문 초록만을 학습시키고 AI가 제안한 상위 5개 소재를 분석했다. 5개 중 3개는 2008년 이후로 실제로 연구를 통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