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응용과학
스페셜
"
과학기술
"(으)로 총 1,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KOITA
l
2014.05.16
“아, 왜 이렇게 느린 거야?” ‘015’를 누르기 귀찮아 ‘▲’를 눌러 텔레비전 채널을 올리기 시작했다. 채널 10개를 바꾸는 데 10초가 흐른 것처럼 느껴진다. 너무 느려 답답하다. “채널이 한 번 바뀌는 시간은 0.01초에 불과합니다. 10번 바꾸면 0.1초지요. 하지만 사람은 원하는 화면을 보기까지 0.05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
KAIST
l
2014.05.16
되어 세계를 상대로 꿈을 펼칠 사람들을 대환영한다”고 전했다. *본 콘텐츠는 한국
과학기술
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새로운 교육플랫폼을 만들고 싶습니다”
KAIST
l
2014.05.15
갖춘다면 여러분도 성공 창업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콘텐츠는 한국
과학기술
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캡틴 쿡으로 잘 알려진 제임스 쿡(James cook, 1728~1779)은 영국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대항해 시대를 연 장본인 중 한 명이다. 1747년 18살이 된 쿡은 석탄 운반선의 견습공으로 들어가 영국 해안을 오가며 항해술을 익힌 후 보다 넓은 바다를 동경하여 1755년 영국 해군에 자원입대했다. 그의 항해 능력은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태연, 식탁 위에 바나나를 산더미만큼 쌓아놓고 콧소리를 내가며 신나게 먹는다. 사람인지 배고픈 고릴라인지 알 수 없는 진풍경이다. “태연아, 그러다 진짜 원숭이 되겠다. 그만 좀 먹어!” “아빠는 지금 제가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아세요? 그 유명한 바나나 다이어트를 위해 억지로 먹는 거라고 ... ...
게임 좋아하던 학생에서 게임 만드는 박사로
KAIST
l
2014.05.14
게임에 끌려간다면 당장 중단해야 한다. 잘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본 콘텐츠는 한국
과학기술
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우주의 미스터리' 암흑물질 액시온을 찾아서
IBS
l
2014.05.14
"우주에서 근본적인 중대 질문(fundamental and big question)은 무엇일까요? 바로 '암흑물질이 무엇이며, 물질과 반물질 사이의 비대칭이 어디서 왔는가?'라는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해 연구에 착수한 IBS 최초의 외국인 연구단장인 야니스 세메르치디스(Yannis K. Semertzidis) 박사가 이렇게 자문자답하 ... ...
IBS 미녀들의 수다
IBS
l
2014.05.14
데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단순히 설명 자료 보기보다 직접 만나 설명 듣고 싶어 "
과학기술
분야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질문을 많이 할 수밖에 없어요. 솔직히 연구자분들을 자주 귀찮게 할 것 같습니다. 그렇더라도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셨으면 해요. 통‧번역을 잘하기 위해선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외출 준비를 할 때 가장 먼저 챙기는 물건 중 하나가 스마트폰이다. 예전 같으면 전화기와 지갑만 달랑 챙겨 나가면 그만이었겠지만 전화기로 별별 일을 다 하는 요즘에는 이것만으로는 어딘가 허전하다. 무언가 빠진 것이 없나 살펴보다 책상 위에서 웬 실타래가 하나 눈에 띈다. 이것이다 싶어 덥 ... ...
[HOT keyword] OLED 이후의 디스플레이, 양자점
KOITA
l
2014.04.30
최근의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대부분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이용한다. 이들은 가볍고 얇게 만들 수 있어 활용성이 높고 성능도 크게 개선되었지만 몇 가지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LCD는 반응속도와 시야각에 한계가 있고 표현가능한 색상의 폭이 좁다. 반면 OLED는 LCD에 비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