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스페셜
"
관여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
KISTI
l
2014.04.10
개화를 준비했을 것을 생각하면 새삼 생명 활동의 섬세함에 감탄하게 된다. 개화에
관여
하는 분자 수준의 축적된 연구 결과들은 개화 시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고 있다.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나 장기적인 기후 변화로 인해 적절한 개화 시기를 놓칠 경우 뒤따르는 작물 생산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이라는 단백질이
관여
함이 밝혀졌다. 즉 애두신은 기억형성에
관여
하고 무사시는 망각에
관여
하는 단백질인 셈이다. 실제로 연구자들은 애두신 유전자가 고장나 기억력에 결함이 있는 돌연변이체에 추가로 무사시 유전자에 변이를 일으켰더니 기억력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옴을 확인하기도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실렸다. 즉 CT는 쾌감을 주는 촉각 정보뿐 아니라 쾌감을 주는 온도감각 정보에도
관여
한다는 것. 아무리 사랑스러운 상대가 내 몸을 쓰다듬을지라도 손이 차갑다면 그다지 기분이 좋지 않은데 CT가 온도 정보를 매개하는 것도 한 요인이라는 것. 실험은 속도조절과 온도조절이 되는 인공손으로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만들기가 어렵다. 최근 공생 박테리아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이들 물질을 만드는데
관여
하는 수많은 효소들의 유전자가 확인됐다. - 네이처 제공 저자들은 이들 박테리아의 염기서열이 워낙 독특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존 박테리아 게놈들과 비교한 결과 별도의 문(phylum)으로 분류해야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진화해왔다. 바로 마이오스타틴(myostatin)과 폴리스타틴(follistatin)을 비롯한 여러 인자가
관여
하는 복잡한 피드백 메커니즘으로 근육량을 조절하고 있다. 따라서 몸을 안 쓰면 근육이 필요없다고 판단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자칫 정적인 생활 패턴에 빠지기 쉬운, 머리를 써서 먹고 사는 많은 ... ...
기분·몸매·성적도 좌우하는 막강 물질, 호르몬
KISTI
l
2014.02.04
힘은 막강하다. 외모, 성격, 기분, 기억력 등에
관여
하며 몸과 마음 구석구석에 영향을 미친다. 호르몬은 밀리그램(mg, 1mg=0.001g)으로 측정한다. 매우 소량이지만 그 양이 조금만 많거나 적어도 우리 몸은 바로 혼란에 빠진다. 80여 개의 호르몬 중 어느 하나에만 변화가 생겨도 기분이 롤러코스터를 탄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복제한 개가 암컷 생식기를 지닌 경우가 나오는데 조사해보니 Y염색체에서 고환 발달에
관여
하는 유전자의 염기가 메틸화되면서 발현되지 않은 결과였다는 것. 이는 염색체상으로는 남성인 사람이 여성의 외부생식기를 지니는(하지만 난소는 없다) ‘스와이어 증후군’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색깔을 결정하는 여러 유전자가 밝혀졌는데, 뭘 하는지 알아봤더니 역시 멜라닌 생성에
관여
하는 단백질들을 지정하는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익스텐션(E) 표현형의 경우 MC1R이라는 유전자가 작동하느냐 여부에 따라 나누어지는데, 이 유전자가 만드는 MC1R 단백질은 멜라닌생성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가속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AID는 많은 암에서 보이는 높은 돌연변이 수치에도
관여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면역학, 그 가운데서도 항체를 연구한 노이버거는 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의 암인 골수종에 걸려 사망했다. 그가 진단을 받고 쓴 메모에서 삶과 죽음의 페이소스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헉슬리는 X선 패턴을 분석해 근육이 수축할 때 액틴과 미오신이 서로 연결된 채
관여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52년 미국 MIT로 건너간 헉슬리는 전자현미경 데이터를 분석해 액틴과 미오신이 서로 미끌어지며 근육수축이 일어난다는 연구결과를 1953년 ‘네이처’에 발표했지만 호응을 얻지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