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완료
마무리
성숙
원숙
완비
완벽
스페셜
"
완성
"(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다양한 분야가 융합해 색다른 관점 제시해야 ②
완성
도-신규성-원천성 만족하는 기술 개발 ③ 원천기술을 상용화로 이끄는 별도의 플랫폼 필요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다. 기업이 개발한 기술은 그 기술적
완성
도보다는 사회적, 정치적 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다. CDMA 기술이 개발되는 동안, TDMA에 비교했을 때 명백해 보이는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초기 투자자 중 누구도 기술 개발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데서 잘 엿볼 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프로젝트를 계속할 것을 결정했다. 현재 박 박사는 이화학연구소(리켄)에서 새 현미경이
완성
됐을 때 관찰할 현상에 대한 예비연구에 몰두하고 있다고 한다. 18. 앤드루 헉슬리 (1917.11.22 ~ 2012. 5.30) ‘청출어람청어람’이란 이 사람을 두고 한 말! ‘다윈의 불독(Darwin's bulldog)’으로 불리며 소심한 찰스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덩치 커져 2002년 벼 게놈 초안이 발표되고, 2005년에는 곡류로는 처음으로 게놈 해독이
완성
됐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게놈 해독은 미국과 영국 등 서구권에서 시작했는데 왜 밀 게놈 해독은 우리나라가 참여하고 일본이 주도한 벼 게놈 국제컨소시엄에 뒤쳐졌는가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는 6월 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2011 바이오 국제컨벤션’을 취재했다. 행사에는 내로라하는 생명공학 기업과 연구소 종 ... 기술, 인프라를 바탕으로 이제 대기업까지 본격 진출하면서 하나의 산업 생태계가
완성
되고 있다”고 말했다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
…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이 실험실은 7500m² 규모의 5층 건물로 단백질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울렌 교수는
완성
된 단백질 지도를 누구나 볼 수 있게 공개할 계획이다. 울렌 교수는 “매일 10개의 새로운 단백질을 분석한다”며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알면 암과 같은 불치병을 치료하는데 큰 도움이 될 ... ...
“연구과제비 산정, ‘달러’로 국제화 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1.09
만드는 단백질 전체) 지도를 만들기 위한 이 프로젝트는 인간 유전자(게놈) 지도
완성
에 비견되는 대규모 국제공동 연구사업이다. ● “연구과제비 기축통화로 산정해야” 백 회장은 먼저 국가 연구과제비 산정 및 배정 기준을 국제 기축통화인 ‘달러’로 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국내 연구과제비를 ... ...
“신약 개발, 미국의 위기가 한국의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0.05.20
많이 들기 때문에 일부는 한국의 우수한 인력을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컴파운드가
완성
되면 이는 다시 중국에서 임상시험을 하게 된다. “시험을 중국에서 하는 이유는 가격 때문이기도 하지만 향후 중국 시장에 진입할 때도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FDA 승인을 받으면 좋지만 쉽지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주효하다. 미국의 기업은 신약을 개발할 때 최종 목표를 먼저 정한다. 무조건 신약을
완성
하는 것이 목표는 아니다. 전임상이나 임상의 단계를 목표로 삼아 기술을 개발한다. 신약이 이 수준까지 개발되면 큰 기업이 이를 사들여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들여 최종 의약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한국은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것이다. 그는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과제가 국제 사회에서 어떤 위치에 있고, 연구가
완성
되면 세계 과학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철저하게 아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과학자라면 세계 과학계 흐름을 철저히 파악하는 노력을 게을리 해선 안 된다”고 전했다. 하지만 모든 ... ...
이전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