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잘못"(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염색체 숫자를 33년동안 48개로 알고 지낸건, 최초 발견자의 잘못도, 연구공동체의 잘못도 아니다. 그건 과학이 작동하는 방식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건일 뿐이다. 식민지에서 차별, 그리고 매카시즘까지 미국 국립보건원에 합류해 연구할 당시의 조 힌 치오. NIH 1956년 논문의 제1저자 치오는, ... ...
- [고침 전]일을 하려는데 머리가 멈췄다... WHO, 번아웃도 공식 질병 분류동아사이언스 l2019.05.28
- 발표했습니다. 민감한 보건 이슈에 대해 충분한 확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정보로 혼선을 드린 점 사과 드립니다. 더 정확한 보도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세계보건기구(WHO)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2019.05.24
- 빨라야 2년, 길면 3~4년까지도 걸리는게 보통이었다. 그러니 운 나쁘게 유전자를 두 번 잘못 뽑은 학생의 졸업은 무한정 연기될 수도 있었다. 반면에 기가막힌 표현형을 보이는 유전자 제거 생쥐를 만든 학생은 몇 편의 논문을 쓰고 미래가 보장된 연구자의 길로 나아가기도 했다. 그러니 유전자 제거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2019.05.22
- 비교해야만 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비교만 한 것은 아니었다. 코드의 논리를 분석하면 잘못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름 디버깅을 한 것과 마찬가지다. 개발자로서의 인생은 이렇듯 게임에서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이에게도 게임을 직접 만들어 보는 경험을 ... ...
- 2050년 치매 인구 1억5200만명…"운동만이 최선의 예방법"동아사이언스 l2019.05.16
- 치매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4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치매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잘못된 생활습관을 바로 잡고 대사증후군 등 질환이 생기지 않도록 건강을 관리하라는 내용이다. WHO에서 가장 중요한 예방법으로 꼽은 첫 번째는 '운동'이다. 일과 중 시간을 정해놓고 규칙적으로 하되 수 년 이상 ... ...
- 제프 베이조스 "이것이 5년뒤 달에 갈 유인 착륙선"동아사이언스 l2019.05.10
- 함께 시작했다. 베이조스는 “이 영상이 당신의 영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면 당신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공개한 블루문은 무게만 7t에 달하는 규모다. 장비와 화물을 채우면 최대 15t에 달한다. 최대 4대의 대형 로버를 실어나를 수 있다. 달 표면에서 다시 이륙해 사람을 다시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0) 기계에게 판단하는 법 가르치기2019.05.07
- 시간이면 충분하나, 예외 처리를 추가한 만큼 1시간이 늘어났다. ‘갸위’나 ‘바우’ 등 잘못된 입력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많은 버그가 미흡한 예외 처리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것은 개발자들 사이에 잘 알려진 사실이다. 아이에게 예외 처리에 대한 습관을 익혀줄 필요가 있다. 물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끈기는 구체적인 계획에서 나온다 2019.04.21
- 쉽지 않은 것이 진리이지만 여전히 장애물들을 만나게 되면 절망하기도, 어디서부터 잘못된 거냐며 폭발해버리기도 한다. 하지만 절망과 폭발 후의 반응이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화를 에너지로 삼아 마음가짐을 가다듬고 눈 앞의 장애물을 제거하려고 애를 쓴다. 반면 화를 이기지 못하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2019.04.09
- 것으로 보인다. 샤프롱(chaperone)은 다른 단백질들이 올바로 접히게 도와주거나 잘못 접혔을 때 바로 잡아주는 단백질이다. 수정체에 있는 크리스탈린 단백질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 가운데 알파-크리스탈린 두 가지(cryAA와 crtAB)가 샤프롱 단백질로 전체의 40%나 차지한다. cryAA와 cryAB가 다른 ... ...
- [Science토크] 철학자와 과학자들 인간의 자유의지 실체 밝힌다동아사이언스 l2019.04.07
- 후속 연구에 도전했고 1000여개의 관련 논문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리벳 박사의 연구가 잘못된 해석이며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내용이 부족하다는 결론을 내놨다. 뇌 활동 또는 신호만이 손을 움직이는 행동에 앞서는 것인지, 또는 어떤 손을 움직일지 예측하는 데 있어서 신호의 차이가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