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공간
곳
현장
자리
스페이스
지면
스페셜
"
장소
"(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장-자크 후블린은 “이번 중국 화석은 (데니소바인으로 보기에)
장소
도 딱 맞고 시기도 딱 맞고 특징도 딱 맞는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정작 발견자들은 “누구도 데니소바인이 어떤 인류였는지 알지 못한다”며 “우리가 아는 건 그들의 DNA서열이 전부”라며 선을 그었다. ... ...
가난한 사람을 보면 사람들은 어떻게 변할까?
2017.03.05
상관 없는 다른 이슈인 비닐봉지 사용을 줄이자는 서명을 해달라고 한다. 이때 서명
장소
근처에 아주 남루한 차림의 또는 말끔한 차림의 흑인이나 백인의 남성이 서 있었다. 샌즈의 관심은 지나가는 사람들이 어떤 조건에서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부자증세)에 좀 더 관심을 갖고 더 많이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볼 것이 많아 하루이틀 사이에는 절대 다 둘러볼 수 없다고 말하지만, 과학자들이 주목한
장소
는 이번주 사이언스의 표지 사진으로 선택된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입니다.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은 약 60만 년 전 대량의 마그마가 갑자기 분출하면서 지각이 함몰되며 생긴 거대한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하는 치료방법이다. Q3. 줄기세포에도 종류가 있던데? 줄기세포는 분화능력과 채취
장소
, 제작 방법에 따라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나이가 들수록 우리 몸의 줄기세포는 분화 능력이 점차 떨어진다. ①배아줄기세포&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배아는 분열을 막 시작한 상태의 수정란을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
2016.11.30
정당을 지지하냐는 것이다. GIB 제공 이전에 미국에서 한 히스패닉계 남성이 공공
장소
에서 격앙된 목소리로 불법 이민자들이 아주 큰 문제이며 이들을 전부 내쫓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해서 의아했던 적이 있었다. 이민자를 반대하는 정서가 생기면 가장 큰 불이익을 볼 대상들이 히스패닉계일 ... ...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
2016.10.21
도서를 전자책으로 만날 수 없는 것이 사실. 그리고 책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경우 보관
장소
나 관리, 이동이 힘든 문제점도 있다. 북 스캐너로 이용하면 가지고 있는 책의 부피와 무게를 엄청나게 줄일 수 있고, 나만의 전자책을 직접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북 스캐너는 기기 자체의 가격이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먼 곳을 응시하는 표범 한 마리가 장식했다. 사진이 촬영된
장소
는 스페인에 위치한 남부 이베리아 반도. 다양한 생태계가 복합적으로 존재해 1986년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설정된 곳이다. 뉴질랜드, 덴마크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다량의 양서류와 ... ...
과학계에도 금수저, 흙수저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25
설명했다. 토비 교수는 “이미 알려진 것 외에도 생물학적으로 위기에 처한 많은
장소
는 더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계기로 많은 여러 과학자가 생물다양성 연구에 참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사는 꿀잡이새라는 참새보다 약간 큰 새가 그 주인공으로 사람에게 꿀벌집이 있는
장소
를 알려줘 사람이 벌집을 털게 한다. 꿀잡이새의 안내에 따라 벌집을 발견한 사람들은 꿀을 털어가고 빈집을 남겨둔다. 그러면 꿀잡이새가 와서 밀랍을 먹는다. 즉 매사냥에서 사람과 매의 역할이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피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나머지 13%는 잔가지에 붙어 있었다. 즉 케틀웰의 실험이
장소
면에서도 큰 문제는 없다는 말이다. 여담이지만 ‘나방과 인간’이라는 후퍼의 책 제목과 ‘시큼한 분노의 포도’라는 서평의 제목 모두 미국 작가 존 스타인벡의 소설 제목을 패러디한 것이다. 즉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