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만드는 어란의 수가 훨씬 적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알이 천적에 먹히지 않는 대신 산란수가 적어진다는 것은 개체군(個體群)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다른 생물의 특징과 일치한다.한편 패류내에서 어란이 발생해 치어까지 되는데, 단순히 천적으로부터 보호만 받지 않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무관하게 공부했으므로 일반대학원에 진학하기도 쉽지 않아요. 조기졸업을 시키는 대신 6개월동안 KAIST석사과정 입시준비를 시켜 실수없이 입학하도록 배려하고 있습니다"라고 고충을 털어 놓았다.조기 졸업가가 행복한 고민을 하는 사람이라면 정말 우울한 고민을 하는 사람도 있다. 4년만에 ...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다음에도 출혈이 재발되면 다시 새 충전재료를 코에 삽입해야 한다.충전재료로 거즈대신 풍선모양의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콧구멍을 통해 쉽게 삽입될 수 있는데 출혈지점에 이르면 부풀어 올라 그곳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 풍선장치는 응급한 상황일 때 거즈보다 훨씬 유용하고, ...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이런 변화의 단초가 됐던 것이 80년의 석사장교제 도입이라고 말한다. 80년전까지는 병역대신 방위산업체에 취직하거나 유학을 택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적 변화 못지않게 질적변화를 가져온 조건은 대학 바깥에 있다.85년 이후 기업의 R&D(연구개발비)비용과 정부의 과학기술투자액은 ...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역할을 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일 것이다"라고 말한다.한편 과학자들은 흰개미가 왜 수직 대신 수평방향으로만 집을 짓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블랙은 흰개미들이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런 방향을 취한 것이라고 추측한다. 이들은 집을 지으면서 경사진 둔덕을 만드는데 ... ...
-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돌이켜보면 85년 한국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뒤 대부분의 이공계생들이 선택하는 미국 대신 일본을 유학지로 결정한 데는 나름대로 몇가지 판단기준이 있었다.무엇보다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내가 연구하고자 했던 주제다. 나는 박사과정에서 석사논문주제로 다뤘던 '초전도공학'을 계속 공부할 ... ...
-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아니다. 전자계산기와 그리 달라 보이지 않는 주머니속의 소형 전자수첩이 그 역할을 대신할 뿐이다.3천명 주소 기록 가능지난 87년부터 일본에서 사무자동화용품의 하나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전자수첩은 말 그대로 기존의 전자계산기에 개인이 수첩 속에 기록하는 각종 데이터를 정리 보관하고 ... ...
- 두발 로봇 드디어 등장과학동아 l1991년 04호
-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신세대 로봇개발의 또 다른 방향은 인간이 할 수없는 작업을 대신해주는 로봇을 개발하는 것이다. 가령 도쿄 소방청이 구상중인 소방차로봇이나 원자로의 내부를 청소하는 로봇, 해저에서 광물을 캐내는 로봇 등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 ...
- 빛의 굴절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전파가 한 방향에 치우치고 다른 방향으로 미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 전파고리 대신 우리는 약간 모양이 일그러진 준성을 보게 될 뿐이며 어쩌면 하나 옆에 조그마한 다른 하나를 둔 듯한 이중 준성을 보게 될는지도 모른다.지난 1979년 3월9일엔 서로 꼭 붙은 이중 준성이 발견됐다. ...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과학동아 l1991년 03호
- 퍼지집합의 개념은 각 대상이 어떤 모임에 '속한다, 속하지 않는다'라는 이원론적 논리 대신 각 대상을 그 모임에 '속하는 정도'(grade of membership)로 이해한다.예를 들면 X= {1, 5, 8, 10, 100, 500}일때 A={집합 X에서 5 보다 훨씬 큰 수들의 모임}을 일반적인 집합의 개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
이전5065075085095105115125135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