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에서 레이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득매질을 이용해서만 만들었다”라며 “살아 있는 세포를 이용해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
”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GFP는 인체의 단백질의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한 표지 물질로 사용했다. 이제 이를 이용해 레이저를 만들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연구팀은 “살아 있는 세포의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띤다. 산성은 종이의 구조를 끊기 때문에 양지는 약 100여 년 사이 서서히 분해된다. 물론
처음
부터 중성약품을 써서 만든 고급 ‘중성지’는 예외다.이에 비해 한지는 천연기법으로 만들기 때문에, 보통 pH9.0 이상의 알칼리성 종이가 된다. 더구나 닥나무의 섬유질이 그대로 살아 있어 습기에 따라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 로켓은 한국최초의 2단형 로켓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비행 중 2단 분리 기술을
처음
으로 개발했으며, 로켓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제어기술’도 개발했다. 항우연은 KSR-I, II를 개발하며 얻은 고체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나로호 2단 킥오프 로켓도 개발했다.KSR-II에 이어서 개발된 KSR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낼 수 있어서 군사용이나 산업용으로 쓰기에 적합하다”고 말했다.하이퍼 초기버전이
처음
개발된 것은 2년 전인 2009년. 첫 번째 하이퍼(하이퍼1)는 마치 주사기처럼 뻗어나가며 길이가 바뀌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한다. 120kg 정도의 짐을 짊어지고 걸을 수 있다. 로봇 자체의 무게는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 K학생은 지금까지도 열심히 준비해왔다. 하지만 지금은 자신의 꿈에 대해
처음
부터 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일단 의사에 대한 꿈부터 점검한 후에 원하는 전공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계획을 세워나가기로 했다. 그 사이에 내신성적을 성실히 관리하고 의미있는 활동을 하는 건 기본이다. 그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고유의 이름과 비밀번호로 바꿔야 하는데 이를 실행하지 않은 것이다. 별다른 설정 없이
처음
사 온 그대로 쓰는 공유기는 해커들에게 좋은 먹잇감이다. 이런 PC는 먼저 해킹한 뒤에 나중에 경유지로 활용하면 추적당할 리스크도 상당히 줄어든다. 운이 좋다면(?) 인터넷 뱅킹용 보안카드번호를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동력 비행에 성공했던 비행기를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똑같이 만드는 게 목표였어요.
처음
설계도만 봤을 땐 별 거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중간에는 왜 시작했을까 후회도 많이 했죠.”임 씨가 이 비행기를 복원하는 데는 꼬박 2년 4개월이 걸렸다. 재료나 제작방식까지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요즘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우주배경복사의 전체 스펙트럼을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우주가
처음
에는 현재보다 수십만K나 더 뜨거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코비 위성은 1992년에도 우주가 모든 방향에서 1000분의 1이상의 정확도로 같은 비율로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려줬다. 이는 우주가 모든 방향에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구체적인 교대근무 정보를 묻는 항목이 없습니다(지난 5월 27일, 정부는
처음
으로 교대제 상세조사 항목을 추가하기로 발표했다). 취업자근로환경조사나 국민건강영향조사 등의 통계를 종합해 보면 임금노동자의 10~20% 사이로 나와요.”하지만 이 수치에는 아르바이트나 단기 파견 등이 포함되지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출신의 박사 과정 학생도 있다. 당연히 실험실의 공용어는 영어다. 윌리엄스 교수는 “
처음
엔 학생들이 발표하면서 진땀도 흘리고, 질문하고 답하기도 어려워 우왕좌왕했지만 의외로 수 개월 안에 모두 능숙해졌다”고 했다. 또 “논문을 쓰고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때 영어를 쓰기 때문에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