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뉴스
"
방향
"(으)로 총 5,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네마틱 상태와 거칠고 다공성인 등방성 상태가 섞여있기 때문에 영역별로 빛이 굴절하는
방향
이 달라져야 하는 3D용 디스플레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송 교수는 “기존 제작기술은 두 개의 액정을 따로따로 만들어 붙여야 했는데 한번에 제작할 수 있어 공정도 간단해질 것으로 ... ...
네팔 대지진, 실시간 데이터로 분석해보니 ‘새로운 결과’
2015.08.09
네팔 대지진 당시 인도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수도인 카트만두
방향
으로 초당 최고 3.3㎞의 속도로 6초 동안 20㎞ 구간의 단층이 파열됐다. 또 파열된 단층의 길이는 총 140㎞에 이르렀으며 초당 1.1m의 속도로 단층지역의 땅이 위아래로 미끄러졌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 ...
“배울것 많다” 아우성… ‘임상적 근거’ 바탕으로 학습량 정해야
동아일보
l
2015.08.06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게 핵심이고, 개정하기로 결정했다면 그
방향
이 적절한지를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 성취 기준별로 시간 분석해 교과 구성을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학습량 경감’은 빠지지 않는 목표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이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면역세포인 T세포의 출입구를 찾는 과정에서 경막정맥동(dural sinuses)과 나란한
방향
으로 림프관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경막은 좌우 대뇌와 소뇌를 감싸는 막으로 그 사이에 있는 정맥들을 통칭해 경막정맥동이라고 부른다. 연구자들은 정맥동에서 T세포의 분포를 보기 위해 T세포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10만5810점 중 수상자 301명 선정
2015.07.30
사용하기 편리한 수돗물 배출
방향
조절 장치’는 간단한 장치 조작만으로 물의
방향
을 조절할 수 있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무총리상을 받은 박규열 군의 ‘빔스플리터를 이용한 이중반사식 현미경’은 빛의 원리를 충분히 이해한 뒤 개발했다는 점에서 매우 수준 높은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어린 조카 스스로 세면대에서 손 씻게 해주고 싶었어요”
2015.07.30
만큼만 길쭉하게 길을 내 호스를 끼웠다. 호스는 가만히 둔 채 원통을 움직여 호스
방향
을 바꿨다. 하지만 호스가 최대 90도밖에 움직이지 않는 데다 물이 세면대 밖으로 튀어 옷이 젖었다. 1차 시도는 실패였다. 이번에는 호스가 수도꼭지까지 양쪽으로 360도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했다. 원통에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15.07.29
없이 사방으로 발사해서는 전파가 레이더로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 그래서 전파를 한
방향
으로 발사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초기에는 천문대의 전파망원경처럼 포물선 모양의 둥근 접시를 전파발생기에 달았다. 1905년 노벨상을 수상한 카를 브라운은 이를 진일보시켰다. 여러 대의 발신기를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주장하기도 했다. 반대로 후성발생을 믿은 사람들은 세포 안의 ‘화학 작용’이 발생
방향
을 지시한다고 추측했다. 두 학설의 대립은 19세기 후반에 끝이 났다. 현미경이 발달하면서 생식세포가 피부세포나 뇌세포가 없는 단일 세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연히 정자 안에 아주 작은 사람도 ... ...
저장 용량은 수백 배, 동작 속도는 수천 배 빠른 메모리
2015.07.28
일종인 DMI의 크기를 처음으로 정확하게 알아냈다. DMI는 자성체 안에서 전자의 스핀
방향
이 인접한 중금속 때문에 틀어지는 현상이다. DMI가 크면 소자의 동작 속도와 기록 속도가 모두 빨라진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지금까지 실제로 이를 측정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중금속 위 자성체의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모서리 차기’ 비유와 유사한데 남한에서 상향식 해석이란 말을 북한에서는 ‘웃
방향
해석’, 돌연변이를 ‘갑작변이’, 광전류를 ‘빛전류’라고 쓴다. 북한 정부는 과학기술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외래어로 된 어려운 학술 용어를 고유어로 전환하는 어문정책을 펼쳤다. 사진은 북한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